미국 석학 허시먼 교수의 보수담론
‘포퓰리즘’은 보수가 상대를 비판할 때 가장 애용하는 단어다. 그러나 가장 포퓰리즘적 언동을 보이는 이들은 다름 아닌 보수다. 특히 진보적 가치를 공격할 때면 단순한 논리에 과격한 결론을 담고 있는 포퓰리즘적 수사를 선보인다. 미국과 한국, 양국 보수집단의 포퓰리즘적 수사학을 엿볼 수 있는 주장이 나란히 나왔다.미국 보수의 담론을 역효과·무용·위험명제로 분석한 앨버트 허시먼.
지난 지방선거 당시 무상급식 논란에서 보듯, 진보적 가치에 대해 보수진영이 정면반박하긴 쉽지 않다. 몰인정하게 보일 우려가 있어서다.
보수 앞에다 ‘따뜻한’, ‘온정적’, ‘인간의 얼굴을 한’, ‘중도’, ‘서민’ 등 온갖 말을 붙이는 이유다. 구체적 이슈에 들어가면 더 뚜렷하다. ‘보편적 복지’ 같은 추상적 주장에 대해서는 ‘막 퍼주다 나라 거덜난다.’는 재정전문가적 우국충정이라도 내세울 수 있지만, 무상급식을 두고 ‘그렇게 하면 애들이 한 끼에 밥을 서너 그릇씩 퍼먹어서 급식 재정이 파탄날 것’이라고 반박하기 곤란하다.
그럼에도 못내 껄끄러웠던지 ‘소득 수준 하위 70%’에 무상 급식하는 것에 그쳤다. 왜 이런 걸까.
미국 프린스턴대 고등연구소 석좌교수였던 앨버트 허시먼의 저작 ‘보수는 어떻게 지배하는가’(이근영 옮김, 웅진지식하우스 펴냄)를 참고하면 되겠다.
‘반동의 수사학’(The Rhetoric of Reaction)이라는 원제에서 짐작되듯 저자는 진보적 가치에 대해 정면반박하기 힘든 보수주의자들이 다른 방법으로 저항하기 위해 어떤 말을 만들어 내는지 다뤘다. ‘프레임’을 키워드로 보수주의자들의 논법을 파헤친 미국의 인지언어학자 조지 레이코프가 떠오를 법하다.
허시먼 교수는 원래 ‘터널효과’로 널리 알려진 경제학자다. 터널효과론은 경제성장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정부가 분배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고, 그러지 못할 경우 성장 자체가 저해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는 그간 미국 경제학계에서 논의되던 성장과 분배에 관한 쿠츠네츠 가설(성장이 일정 궤도에 오르면 분배는 ‘자동’적으로 개선된다는 가설)을 반박한 것이다. 자유시장적 사고에서 벗어나라고 주문하는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교수가 최근 저서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에서 허시먼 교수를 높이 평가하는 이유다.
이런 경제학자가 왜 보수주의자들의 정치적 수사에 관심을 기울이게 됐을까. 여기에는 1980년대라는 시대적 배경이 놓여져 있다. 이 책의 기획 자체가 1985년에 시작됐는데, 이때는 레이거노믹스가 맹위를 떨칠 때다. 허시먼 교수가 궁금하게 여겼던 점은 레이거노믹스(구체적으로 공급중시·공공선택·합리적선택이론이 언급됐다)처럼 경제학적으로 말이 안 되는 논리가 왜 정치적으로는 먹혀드느냐다.
허시먼 교수는 지난 200년동안 진보에 대한 반동세력들이 내놓은 주장을 역효과·무용·위험명제 3가지로 분류했다. 가령 이런 것이다. 복지정책에 대해 “결국 놀고 먹는 사람들만 늘어난다.”거나 “어차피 구제 안 되는 사람은 있게 마련”이라거나 “복지병 때문에 망조가 든 유럽이나 남미 못 봤느냐.”고 한다.
이들은 선거 때 표를 얻기 위해 노골적으로 말하지는 않지만, 대중은 ‘반쯤 바보이고 반쯤은 범죄자’라고 생각한다.
허시먼의 반론은 간단하다. 그렇게 걱정만 하다 아무것도 안 하느니 그래도 뭐라도 해보는 게 낫다는 것이다.
가령 정부 개입을 모든 악의 근원으로 여기는 이들이 밀턴 프리드먼의 ‘샤워실의 바보’ 얘기를 들먹이면 “그럼 물 온도 맞추기 힘들다고 넌 평생 샤워 안 하고 살 거냐.”라고 해 주면 된다는 것이다.
조태성기자 cho1904@seoul.co.kr
2010-12-01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