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심의·부실 기술검토서… ‘반구대 투명댐’ 또 시끌

사전심의·부실 기술검토서… ‘반구대 투명댐’ 또 시끌

입력 2014-01-14 00:00
수정 2014-01-14 03: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폭 15m 늘어난 55m로… 16일 공식심의 앞두고 벌써 논란 휩싸여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문화재청과 울산광역시가 합의한 가변형 투명물막이(카이네틱 댐) 설치안이 오는 16일 문화재위원회에 공식 상정된다. 그동안 울산시와 문화재청, 문화체육관광부 추천 전문가들로 구성된 정부 기술평가팀이 댐의 기술적 타당성을 검토해 온 것과 별개로 외부 용역사가 기존에 제시된 40m에서 55m로 댐 폭을 15m나 늘리기로 해 향후 진통이 예상된다. 지난 10일 울산시는 이 같은 내용의 현상변경안을 문화재청에 접수했다. 앞서 지난해 10월 암각화 주변에서 81점의 공룡 발자국(화석)이 발견되면서 기존의 댐 건설안은 전면 중단된 상태였다.

이미지 확대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카이네틱 댐의 가상도. 암각화 전면에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강도 투명막이 설치된다.  문화재청 제공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카이네틱 댐의 가상도. 암각화 전면에 수위 변화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고강도 투명막이 설치된다.

문화재청 제공


13일 문화재계에 따르면 문화재위원회 건축분과위원회는 16일 심의에서 10명의 위원 가운데 과반인 6명 이상이 찬성하면 댐 설치를 확정한다. 그러나 최종 심의가 임박한 가운데 기술평가팀이 제출한 기술검토서와 지난 10일 비공개로 열렸던 문화재위원회의 사전 심의가 도마에 올랐다. 기술평가 팀원이자 건축분과위원인 이수곤 서울시립대 교수는 “지난해 전체 11명인 기술평가 팀원 가운데 기술적 타당성을 놓고 6명은 의견을 내지 않고, 3명은 반대했다”면서 “그런데도 최근 문화재위원회에 올라온 기술검토서에는 ‘안정성과 기술적 타당성이 있다’고 버젓이 명기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문화재청 측은 “7명이 찬성했다”며 반박하는 상황이다.

카이네틱 댐의 모습이 기존 안과 크게 달라진 것도 문화재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무엇보다 댐의 폭이 기존 40m보다 15m나 확장된 55m로 늘었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지난해 10월 이후 암각화 주변에서 발견된 공룡 발자국 가운데 희귀종인 수각류(육식공룡) 발자국 2점을 제외한 나머지는 보존가치가 낮다고 결론났다”면서 “발자국들을 흙으로 덮어 이전 상태로 보존하기로 했는데, 중요한 발자국들이 댐 안에 자리하도록 폭을 늘린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변영섭 전 문화재청장은 이런 댐 확장안에 반대하며 청와대와 갈등을 빚었고, 직접적인 경질 이유가 됐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댐의 형태는 암반을 뚫는 기초공사가 필요 없는 중력식 댐으로 바뀌었다. 댐을 설계한 건축가 함인선씨는 “콘크리트 블록형태로 기초공사를 한 뒤 6만t가량의 가변형 댐을 올려 암반과 댐의 마찰력으로 댐을 버티게 할 것”이라며 “미국의 후버댐이나 국내 합천댐과 비슷한 형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 교수들은 가변형 투명댐에 중력식 댐 형식을 적용한 것은 유례가 없다며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

공식 심의를 앞두고 지난 10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열린 건축분과위원회의 비공개 회의도 연일 뒷말을 낳고 있다. 이수곤 교수는 “7명의 건축분과위원이 참석해 미리 카이네틱 댐에 대한 비공개 심의를 했다”면서 “절차와 내용상 문제점을 지적했으나 위원장은 ‘16일에는 처리할 안건이 많아 어쩔 수 없다’고 답했다”고 말했다. 당시 회의를 주재한 김동욱 건축분과위원장은 “심의가 아닌 간담회 자리였다. 심의는 최대한 시간을 두고 다른 분과와도 협의를 거쳐 진행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문화재위원회 일부 위원들 사이에선 지난해에는 반구대 암각화가 물에 잠기지 않았다는 이유로 댐 설치 자체가 불필요하다는 ‘원점 검토론’이 제기되고 있다. 강수량이 줄고 있는 가운데 서둘러 댐 설치를 강행할 필요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나선화 신임 문화재청장도 지난 9일 간담회에서 “댐 추진 도중 문제가 발견되면 언제든지 전문가들의 토의를 거쳐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고 여지를 남겨둔 상태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1-14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