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미술시장 실태조사’
연간 4000억원이 넘는 국내 미술시장 규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개인 화랑들은 여전히 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중 화랑 가운데 절반가량은 매년 손해를 보는 것으로 추산됐다.또 미술품 거래의 주체인 화랑의 숫자는 모두 397곳, 전시회 개최 횟수는 4915회였다. 참여 작가 수는 1만 1920명, 관람객 수는 142만 1437명으로 추산됐다. 하지만 이 중 138만 9051명(97.7%)이 무료 관람객이며 화랑들의 연간 매출액도 2823억원에 그쳤다. 화랑 한 곳당 평균 매출액도 7억원 선으로 255곳(64.6%)이 1억원 미만, 119곳(30.0%)은 1000만~3000만원 미만이었다. 매출이 없는 화랑도 56곳(14.2%)이나 됐다.
이를 바탕으로 추산한 결과 통계에 잡힌 394곳 중 흑자 화랑은 90곳(22.9%), 적자 화랑은 202곳(51.2%)으로 화랑가의 양극화 현상을 대변했다. 손익분기점을 유지한 화랑은 102곳(25.9%)에 머물렀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관계자는 “매출액 1000만원 미만 화랑의 약 88%, 1000만~3000만원 미만 화랑의 65%가 손해를 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 같은 불황에도 메이저급인 16곳의 화랑은 연간 10억원 이상의 작품 판매를 기록했으며 판매 작품은 서양화, 대상은 개인 소장자에 치우친 것으로 전해졌다.
오상도 기자 sdoh@seoul.co.kr
2014-02-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