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중독 11.9%, 인터넷 중독 6.7%
남자 청소년은 인터넷, 여자 청소년은 스마트폰 사용에 중독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스마트폰에 중독된 학생의 수는 줄었지만 저연령화되는 경향을 보였다.남학생은 인터넷 중독, 여학생은 스마트폰 중독 많다
남자 청소년은 인터넷, 여자 청소년은 스마트폰 사용에 중독된 경우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스마트폰에 중독된 학생의 수는 줄었지만 저연령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여성가족부가 교육부와 함께 지난 4∼5월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56만여 명을 대상으로 인터넷과 스마트폰 이용 습관에 관한 조사를 한 결과 전체 학생의 11.9%인 약 18만7천명이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은 30일 오후 서울 한 놀이공원에서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여학생들의 모습.
연합뉴스
연합뉴스
연령별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은 초등학교 4학년이 1만3천183명(2.9%), 중1은 7만605명(13.5%), 고1은 10만2천811명(17.4%)이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 학생수는 전년도 조사(24만여명)보다 약 20% 감소했지만, 초등학교 4학년의 경우 전년(1만372명)에 비해 20% 이상 증가해 중독이 저연령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인터넷 중독 위험군은 10만5천여명으로 전체의 6.7%로 파악됐다. 초등학교 4학년이 1만9천477명(4.4%), 중1이 4만3천187명(8.3%), 고1이 4만2천393명(7.2%)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남·녀 학생이 거의 절반씩을 이룬 전체 조사 대상 가운데 여자 청소년은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이, 남자 청소년은 인터넷 중독 위험군이 상대적으로 다수를 차지했다.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에 속한 여자 청소년은 11만4천442명으로 남자 청소년 수인 7만2천157명의 약 1.6배에 달했다. 반대로 인터넷중독 위험군은 남자 청소년 수(6만6천446명)가 여자 청소년 수(3만8천611명)의 약 1.7배였다.
여가부는 중독 위험군으로 확인된 청소년들은 보호자 동의를 거쳐 전국 200개 청소년상담복지센터 및 179개 치료협력병원과 연계한 상담 및 각종 특화 프로그램을 통해 중독 치유에 나설 계획이다.
또 성별에 따른 중독 현상의 차이를 고려해 현재 운영 중인 인터넷치유학교 및 가족치유캠프에 성별 맞춤형 프로그램도 제공할 예정이다.
여가부 김성벽 청소년매체환경과장은 “청소년의 인터넷·스마트폰 과다 사용에 따른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정에서부터 관심과 지도가 중요하다”면서 “피해 청소년의 효과적인 치유를 위해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