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사지왕은 과연 누구?…신라시대 환두대도의 주인 이사지왕의 정체 풀 열쇠는

이사지왕은 과연 누구?…신라시대 환두대도의 주인 이사지왕의 정체 풀 열쇠는

입력 2014-07-04 00:00
수정 2014-07-04 15: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사지왕’이라고 새겨진 환두대도. / 국립중앙박물관.
‘이사지왕’이라고 새겨진 환두대도. / 국립중앙박물관. 1921년 조선총독부가 발굴한 신라시대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환두대도(環頭大刀·고리자루 큰칼)의 칼집 하단 앞면에 새겨진 ‘이사지왕’(爾斯智王). 신라 금석문에 새겨진 전형적인 신라식 표기로, 신라 무덤에서 처음 확인된 왕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작은 사진은 국립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돼 온 환두대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사지왕’ ‘환두대도’

‘이사지왕’은 과연 누구일까.

지난해 발견한 신라시대 칼 환두대도에 새겨진 ‘이사지왕’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은 발굴한 지 80년이 더 지난 신라시대 칼을 느닷없이 수장고에서 꺼내놓고는 이를 찬 주인공은 ‘이사지왕’(爾斯智王)이라고 발표했다. 이 칼에서 이사지왕이라고 적힌 글자를 찾아냈기 때문이다.

이 소식은 이내 언론을 통해 대서특필됐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신라왕의 인명 표기와는 대응하기 힘든 이사지왕이 누구인지를 두고 호기심이 일었고, 학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박물관이 이 칼과 칼이 발굴된 경주분지 신라시대 적석목곽분인 금관총을 주제로 하는 테마전을 마련한다.

오는 8일 이곳 중근세관 테마전시실에서 개막해 오는 9월 28일까지 계속할 기획전 ‘금관총과 이사지왕’에는 문제의 문자가 적힌 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環頭大刀>)을 필두로 금관총의 다른 유물을 한자리에 모은다.

금관총은 1921년 경주의 한 민가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금관을 출토함으로써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교토제국대학 교수인 하마다 고사쿠(濱田耕作)와 이 대학 고고학교실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 등이 발굴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는 ‘금관총과 그 유보(遺寶)’라는 이름의 보고서로, 1924년 5월 ‘본문 상책’이 나온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도판 상책’이, 그리고 1928년 ‘도판 하책’이 교토에 근거지를 둔 출판사 지교도(似玉堂)에서 출판됐다. ‘본문 하책’은 예산 부족으로 결국 나오지 못했다.

그러다가 1932년 총독부가 아닌 사단법인 경주고적보존회가 자금 지원을 해서 저자는 하마다의 이름으로 ‘경주의 금관총’이라는 단행본으로 나왔다. 출판사는 같은 지교도.

금관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한 금관총 유물들은 이후 조선총독부박물관을 거쳐 국립박물관에 수장돼 전해지다가 지난해서야 박물관이 환두대도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사지왕’이라는 글자를 확인한 데 이어 같은 금관총 출토 다른 칼과 칼 부속구에서도 ‘八’(팔), ‘十’(십)과 같은 글자를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이번 테마전은 금관총의 발견 과정과 ‘이사지왕’이라는 글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교토대학이 보관하던 금관총 보고서 원본도 나온다.

박물관 측은 “이 자료를 보면 당시 금관총 보고서가 어떻게 작성되었고 일본인 연구자는 어떤 부분에 많은 관심을 지녔는지 잘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전시실 중앙에는 금관총 유물 출토 모습을 그래픽으로 재현했으며, 그 주변으로 이사지왕 큰칼과 금관총을 대표하는 유물들을 배치한다.

전시품 중 고구려 유물로 추정되는 청동사이호와 초두(용기의 일종)는 주목거리다.

오키나와 해역 일대에서 서식하는 고둥 일종인 ‘이모가이’로 만든 말띠꾸미개(운주<雲珠>)도 선보인다.

테마전과 연계해 11일 오전 10시~오후 6시 박물관 소강당에서는 관련 학술 심포지엄이 열린다.

‘이사지왕’이라고 새겨진 환두대도. / 국립중앙박물관.
‘이사지왕’이라고 새겨진 환두대도. / 국립중앙박물관. 1921년 조선총독부가 발굴한 신라시대 경주 금관총에서 출토된 환두대도(環頭大刀·고리자루 큰칼)의 칼집 하단 앞면에 새겨진 ‘이사지왕’(爾斯智王). 신라 금석문에 새겨진 전형적인 신라식 표기로, 신라 무덤에서 처음 확인된 왕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작은 사진은 국립박물관 수장고에 보관돼 온 환두대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이사지왕’ ‘환두대도’

‘이사지왕’은 과연 누구일까.

지난해 발견한 신라시대 칼 환두대도에 새겨진 ‘이사지왕’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립중앙박물관은 발굴한 지 80년이 더 지난 신라시대 칼을 느닷없이 수장고에서 꺼내놓고는 이를 찬 주인공은 ‘이사지왕’(爾斯智王)이라고 발표했다. 이 칼에서 이사지왕이라고 적힌 글자를 찾아냈기 때문이다.

이 소식은 이내 언론을 통해 대서특필됐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신라왕의 인명 표기와는 대응하기 힘든 이사지왕이 누구인지를 두고 호기심이 일었고, 학계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였다.

박물관이 이 칼과 칼이 발굴된 경주분지 신라시대 적석목곽분인 금관총을 주제로 하는 테마전을 마련한다.

오는 8일 이곳 중근세관 테마전시실에서 개막해 오는 9월 28일까지 계속할 기획전 ‘금관총과 이사지왕’에는 문제의 문자가 적힌 고리자루큰칼(환두대도<環頭大刀>)을 필두로 금관총의 다른 유물을 한자리에 모은다.

금관총은 1921년 경주의 한 민가를 수리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금관을 출토함으로써 알려졌다.

이를 계기로 조선총독부는 교토제국대학 교수인 하마다 고사쿠(濱田耕作)와 이 대학 고고학교실 고이즈미 아키오(小泉顯夫) 등이 발굴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는 ‘금관총과 그 유보(遺寶)’라는 이름의 보고서로, 1924년 5월 ‘본문 상책’이 나온 것을 시작으로 같은 해 9월 ‘도판 상책’이, 그리고 1928년 ‘도판 하책’이 교토에 근거지를 둔 출판사 지교도(似玉堂)에서 출판됐다. ‘본문 하책’은 예산 부족으로 결국 나오지 못했다.

그러다가 1932년 총독부가 아닌 사단법인 경주고적보존회가 자금 지원을 해서 저자는 하마다의 이름으로 ‘경주의 금관총’이라는 단행본으로 나왔다. 출판사는 같은 지교도.

금관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한 금관총 유물들은 이후 조선총독부박물관을 거쳐 국립박물관에 수장돼 전해지다가 지난해서야 박물관이 환두대도를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이사지왕’이라는 글자를 확인한 데 이어 같은 금관총 출토 다른 칼과 칼 부속구에서도 ‘八’(팔), ‘十’(십)과 같은 글자를 찾아내기에 이르렀다.

이번 테마전은 금관총의 발견 과정과 ‘이사지왕’이라는 글자를 확인하는 과정을 소개한다. 교토대학이 보관하던 금관총 보고서 원본도 나온다.

박물관 측은 “이 자료를 보면 당시 금관총 보고서가 어떻게 작성되었고 일본인 연구자는 어떤 부분에 많은 관심을 지녔는지 잘 알 수 있다”고 전했다.

전시실 중앙에는 금관총 유물 출토 모습을 그래픽으로 재현했으며, 그 주변으로 이사지왕 큰칼과 금관총을 대표하는 유물들을 배치한다.

전시품 중 고구려 유물로 추정되는 청동사이호와 초두(용기의 일종)는 주목거리다.

오키나와 해역 일대에서 서식하는 고둥 일종인 ‘이모가이’로 만든 말띠꾸미개(운주<雲珠>)도 선보인다.

테마전과 연계해 11일 오전 10시~오후 6시 박물관 소강당에서는 관련 학술 심포지엄이 열린다.

최병현 숭실대 명예교수가 ‘금관총 연구와 마립간기 신라 사회’를 주제로 하는 기조강연을 하는 데 이어 ▲ 일제강점기 금관총의 발견과 의의(김대환) ▲ 금관총 출토 이사지왕명 대도의 보존처리(권윤미, 이상 국립중앙박물관) ▲ 신라 적석목곽묘 연구와 금관총(박광열, 성림문화재연구원) ▲ 이사지왕명 대도와 신라 고분 출토 문자 자료(이용현, 국립대구박물관) ▲ 이사지왕과 금관총의 주인공(김재홍, 국민대) 같은 발표가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