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 구현, 바라하의 엄니가 세상을 구원하듯이

정의 구현, 바라하의 엄니가 세상을 구원하듯이

입력 2019-01-21 14:48
수정 2019-01-21 16: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황금돼지해라고 한다. 적절한 때를 골라 결혼과 출산을 하려고 한단다. 그런데 12지신을 제외하면 아시아에서 돼지를 미술로 표현한 경우가 매우 드물다. 대신 인도에서 길들이지 않은 멧돼지를 신격화된 모습으로 나타낸 것을 볼 수 있다. 비슈누의 화신인 바라하(Varaha)이다. 바라하는 흔히 나오는 비슈누의 10가지 화현 가운데 3번째에 해당한다. 원래 비슈누는 세상을 지속시키는 ‘유지’의 신인데 바라하는 세상을 구원한 신인 셈이다.
이미지 확대
대지의 여신을 구하는 바라하, 5세기, 인도, 우다야기리 제5굴
대지의 여신을 구하는 바라하, 5세기, 인도, 우다야기리 제5굴
가장 널리 알려진 바라하 중 하나가 우다야기리(Udayagiri) 석굴 제5굴의 조각일 것이다. 인도 마디야 프라데쉬(Madhya Pradesh)에 있는 우다야기리 석굴은 굽타왕조의 제3대 왕 찬드라굽타 2세(Chandra Gupta II, 재위 376-415)가 건설한 힌두교 석굴사원이다. 화면 가운데 크고 건장한 바라하가 머리를 치켜든 모습으로 새겨졌다. 사람의 몸에 멧돼지 머리라 앞으로 불룩 튀어나온 코가 인상적이다. 길게 뻗은 엄니로 여성을 떠받치고 있는데, 여성의 머리는 파괴돼 사라지고 작고 여린 신체만 남았다. 이 여성은 부데비(Bhudevi)라고 하는 대지의 여신이다. 화면 아래에는 바라하의 위력에 놀라 경배하는 나가, 즉 뱀의 왕이 두 손을 모으고 있다. 강인한 바라하와 연약한 부데비는 각각 비슈누의 위력과 그의 보호가 필요한 이 세상을 상징한다.

대부분의 힌두신화가 그렇듯 바라하가 부데비를 구출하게 된 경위도 베다 문학에 기반을 두었다. 어느 날 히란약샤(Hiranyaksha)라는 악마가 하늘을 공격하여 여신 부데비를 납치했다. 악마의 공격으로 치명상을 입은 부데비도, 부데비가 돌봐주는 지상의 어떤 생명도 살아남을 수 없었다. 심하게 공격당한 부데비는 히란약샤가 일으킨 홍수로 물에 빠져 마침내 익사할 지경에 이르렀다. 이때 비슈누가 바라하로 화현하여 깊은 물에 빠진 여신을 발견했다. 바라하는 길고 큰 엄니로 부데비를 건져내 세상을 구했다. 선은 승리했고, 이 땅의 모든 생명은 위기를 벗어났으며, 비슈누는 세상을 유지하는 의무를 다했다. 힌두신화에서 바라하 이야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전승되어 인도 및 동남아시아로 전해졌다. 어디서건 멧돼지 머리에 엄니가 삐죽 나온 모습의 신상은 비슈누의 화신 바라하라고 보면 된다.
이미지 확대
히란약샤의 목을 벤 바라하, 19세기, 인도, 영국박물관 (박물관 홈페이지 참조)
히란약샤의 목을 벤 바라하, 19세기, 인도, 영국박물관 (박물관 홈페이지 참조)
이 사원을 세운 찬드라굽타 2세는 샤카 왕국을 정복하고 북인도를 다스리는 왕이 되어 신의 왕, 데바라자로 불렸다. 비슈누를 숭상한 찬드라굽타 2세는 스스로 바라하를 지목해 조각을 하게했다. 구원자 바라하가 악마를 굴복시키고 혼돈 속에서 세상을 구원했듯이 자신이 세상에 다시 질서를 가져오고, 올바른 정법(正法)이 지배하게 만들었음을 보여주려 했던 모양이다.

힌두교 세상에서 바라하 이야기는 명백한 선과 악, 옳고 그름의 이분법에 기반한 세계관을 상징한다. 나아가 누구든 선과 정의, 정법을 지키기 위해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게끔 이끄는 것이 돼지의 모습을 한 바라하의 역할이기도 하다.

찬드라굽타 2세처럼 피비린 전쟁 없이도 촛불로 정권을 바꿀 수 있는 세상이다. 우다야기리 같은 대형 사원을 건설하지 않더라도 선을 드러내고 정법을 세우는 일이 가능한 것이다. 하지만 선의가 정의는 아니다. 정의가 설 때 선의가 빛난다. 마침 600년 만에 온 복과 길운의 황금돼지의 해이다. 바라하의 엄니처럼 정의가 우뚝한 해가 되기를!

글·그림·사진: 강희정 서강대 동아연구소장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