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송산리 29호분 내 시신이 안치된 방인 현실 모습. 관을 얹어놓는 평상이나 낮은 대를 일컫는 관대가 보인다. 문화재청 제공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와 공주시는 88년 만에 다시 이뤄진 송산리 29호분 발굴 조사 결과 무덤 주인을 유추할 수 있는 유물은 나오지 않았으나 위치나 구조 면에서 왕릉급으로 추정된다고 28일 밝혔다. 백제 웅진기(475~538) 왕릉원으로 알려진 공주 송산리 고분군에는 현재 무령왕릉과 1~6호분으로 명명된 고분 등 총 7기의 무덤이 정비돼 있다. 하지만, 기존 조사에 따르면 그보다 많은 수의 고분이 있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송산리 고분군은 계곡을 사이에 두고 서쪽에 무령왕릉과 5·6호분이 있고, 동북쪽에 1∼4호분이 존재한다. 1∼5호분은 백제의 전형적 무덤 양식인 굴식 돌방무덤(횡혈식 석실분)이고, 무령왕릉과 벽화가 있는 6호분은 벽돌(전돌)을 쌓아 조성한 전실분이다.
공주 송산리 29호분 전경. 문화재청 제공
무덤방의 벽체는 1∼5호분처럼 깬돌인 할석을 썼지만, 바닥과 관을 두는 관대 두 점은 무령왕릉이나 6호분처럼 벽돌을 깔아 만든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연구소는 “이를 통해 송산리고분군 내 고분들의 축조 순서와 위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백제문화권 핵심유적 중장기 조사연구 계획’의 하나로 진행하는 공주 송산리고분군 학술조사의 첫 사례다. 연구소는 “29호분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서 잊힌 고분들을 하나씩 찾아내 백제 왕릉원으로서의 위상을 되찾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