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북리 유적 17차 발굴 조사 발표
건물터·수레바퀴 흔적 새로 찾아

국가유산청 제공
충남 부여 관북리 유적의 제17차 조사 지역에서 확인된 백제시대 수레바퀴 자국.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백제가 사비(충남 부여)에 도읍을 두던 시기 왕궁과 관련한 건물터와 도로로 추정되는 유구(옛 토목건축 자취)가 발견됐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부여 관북리 유적에서 2022년부터 진행된 16차, 올해부터 진행된 17차 발굴 조사 결과를 11일 밝혔다. 올해 조사에서는 왕궁 관련 시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의 동쪽 경계 부근에서 도로와 수레바퀴 흔적이 새롭게 발견됐다. 수레가 이동하면서 파인 곳을 보수하기 위해 놓은 듯한 기와와 토기 조각 여러 점도 확인됐다.
연구소 관계자는 “현재의 도로와 위치가 일치하고, 방향성도 맞아 과거와 현재의 토지 이용 양상이 이어져 왔음을 보여 주는 중요한 자료”라고 설명했다. 관북리 유적은 1982년부터 발굴 조사가 진행 중이다.
조사단은 왕궁 관련 건물의 크기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16차 조사에서 확인된 건물터 3곳 가운데 1곳인 ‘2호 건물지’는 동서로 1칸, 남북으로 8칸 규모로 길이가 25.5m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건물은 중심 건물 주변을 둘러싸도록 만든 장랑식(長廊式) 형태로 추정된다.
2024-12-1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