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히텐슈타인 왕실, 서울서 엿본다

리히텐슈타인 왕실, 서울서 엿본다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2-04 17:40
수정 2018-12-04 17: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립고궁박물관, 내년 개국 300주년 맞는 왕가의 보물 전시

이미지 확대
이탈리아 화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가 그린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디트’
이탈리아 화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가 그린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디트’
스위스와 오스트리아 사이에 자리잡은 리히텐슈타인은 세계에서 여섯 번째로 작은 입헌군주제 국가다. 1719년 안톤 플로리안 1세 대공이 셸렌베르크 공국과 파두츠 공국을 통합하면서 역사가 시작됐다. 내년에 개국 300주년을 맞는 리히텐슈타인 왕가의 화려한 보물들이 서울 나들이를 한다. 국립고궁박물관이 국외 왕실 특별전으로 마련한 ‘리히텐슈타인 왕가의 보물’전이다.
이미지 확대
피에트라 두라 장식의 함
피에트라 두라 장식의 함
개막을 하루 앞둔 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지병목 국립고궁박물관장은 “서양 근세 사회에서 변화의 소용돌이를 겪으면서도 이 작은 나라가 왕가의 컬렉션을 얼마나 잘 보존해 왔는지 그 저력을 느낄 수 있는 전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리히텐슈타인 가문의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 이번 전시는 왕가의 역사와 생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들로 볼거리가 풍성하다. 안톤 플로리안 1세가 신성로마제국의 카를 6세로부터 공국 성립을 인정받은 문서를 비롯해 채색한 돌을 모자이크 방식으로 이어 붙인 피에트라 두라 장식의 함, 가문의 문장을 화려하게 수놓은 마구(馬具), 연수정 한 덩어리를 통째 깎아 제작한 뚜껑 달린 병 마이엔크루크 등이 눈에 띈다. 알로이스 1세 대공이 아내를 위해 주문한 ‘카롤리네 대공비의 초상’, 이탈리아 화가 크리스토파노 알로리가 그린 ‘홀로페르네스의 머리를 든 유디트’ 등 다양한 회화도 공개된다.

리히텐슈타인 왕가의 보물이 한국을 찾은 건 2015년 ‘리히텐슈타인박물관 명품전- 루벤스와 세기의 거장들’에 이어 두 번째다. 이번 전시는 회화가 아닌 공국 가문의 전체적인 생활상에 초점을 맞췄다. 전시는 국립고궁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내년 2월 10일까지 이어진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12-05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