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틀 여는 첼리스트 한재민
에네스쿠 콩쿠르 최연소 우승자
“무대 자체 즐기는 분위기 놀라”
“사람 목소리 비슷한 첼로 매력적”
첼리스트 한재민.
파이플랜즈 제공
파이플랜즈 제공
지난해 루마니아 에네스쿠 국제 콩쿠르 역대 최연소 우승과 제네바 국제 콩쿠르 3위로 화제가 된 첼리스트 한재민(16)은 학생티를 벗지 못한 앳된 표정에서도 진지함이 엿보였다. 1일 서울 예술의전당 IBK챔버홀에서 리사이틀 무대를 여는 그는 최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승 이후 1년간 연주 기회가 좀더 많아졌지만, 일상이 크게 바뀐 것은 없다”며 “다만 연주를 보다 잘하고 싶다는 욕심이 좀더 생긴 것 같다”고 말했다.
동유럽권 최대 규모의 에네스쿠 콩쿠르는 처음 나서는 성인 콩쿠르라 의미가 깊었다. 첫 무대라 어느 때보다 긴장했다는 그는 “콩쿠르는 무조건 잘해서 입상해야 한다고 성적만 생각했는데, 그곳에 가 보니 경쟁자들이 스스럼없이 어울리고 성적에 연연하기보다 무대 자체를 즐기는 분위기라 놀랐다”며 “많은 것을 배운 무대였다”고 돌아봤다.
만 5세 때 어머니의 지인이 운영하는 학원에 다닌 것을 계기로 첼로를 시작한 그는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장래 희망을 ‘첼리스트’라고 적었다. 또래 친구들이 중학교 3학년에 올라가던 지난해 3월 한국예술종합학교에 현악 부문 최연소 영재로 입학했다. 중·고 과정을 건너뛰었지만 그는 “대학 생활을 하면서 힘든 점은 없다”며 “다들 자기만의 길이 있고 누구나 나름대로 힘든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어른스럽게 말했다. 첼로의 매력에 대해 “스펙트럼이 넓고 사람 목소리와 비슷한 음색을 낼 수 있는 악기”라고 강조한 그는 교회에서 전자 기타 연주를 하고 재즈 음악도 좋아하는 등 클래식 이외 분야에도 관심이 많다.
러시아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시코프스키와 협연하는 이번 공연에서는 세자르 프랑크와 클로드 드뷔시, 프레데리크 쇼팽의 소나타를 선보인다. 그는 “프랑스 작곡가들과 프랑스에서 공부한 쇼팽의 곡으로 제가 좋아하는 프랑스 음악 세계를 보여 주고자 한다”고 소개했다.
“앞으로 첼로를 위한 소나타를 다섯 곡이나 만들어 준 베토벤 전곡을 연주하고 싶고 기회가 닿으면 지휘도 해 보고 싶다”고 포부를 밝힌 한재민은 첼로 외에 하고 싶은 것이 없느냐는 질문에는 “다음 생에는 조직에서 규칙적으로 일하고 4대 보험도 적용받는 ‘상사맨’을 한번 해 보고 싶다”고 말하며 환하게 웃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