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의 품격과 저널리즘 외교 】 김성해·강국진 지음 / 한국언론재단 펴냄
국격(國格)·사전에 없는 조어다. ‘국가의 품격’쯤의 의미가 되겠다. 이명박 대통령이 어디선가 뱉어내며 공공연히 쓰이고 있다. 비속어를 즐겨 쓰는 사람의 품격이 의심받곤 하듯 일국의 대통령이 없는 단어를 만들어 유통시키는 것이 모국어의 확장인지 훼손인지 알 길은 없지만 어쨌든 거의 자리를 잡은 분위기다. 정부 관계자는 물론 학자, 언론 등까지 나서서 ‘국격’, ‘국가 브랜드’ 등을 앞세워 대한민국이 국제 사회 속으로 깊숙이 들어가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다.‘국가의 품격과 저널리즘 외교’(김성해·강국진 지음, 한국언론재단 펴냄)는 이러한 상황에서 ‘미디어 공공외교’의 중요성을 다시 돌아보고 있다. 한때 미디어 프로파간다(일방적 홍보 언론)로 치부되며 유명무실해졌던 미디어 공공외교가 최근 다시 부각되는 배경에 대해 심도 있게 짚어보고 있다. BBC월드뉴스(영국), 프랑스24, DW(독일), CCTV(중국), 러시아 투데이 등은 어떻게 설립됐고 국제적인 신뢰를 확보하고 있는지 연합뉴스와 같은 한국의 사례와 빗대며 분석한다.
미디어 외교에서 적극적인 국가의 역할을 주문하는 것에 오해는 없어야 한다. 과거 군사독재정권처럼 해외를 상대로 한 정치적 홍보 수단을 갖자는 것과는 궤를 달리한다. 이는 미디어를 통해 ‘우리의 무엇을 바깥에 알릴 것인가.’에 대한 화두를 갖자는 의미다.
궁극적으로 이 책이 지향하는 바는 모두가 바라 마지 않는 국제사회, 세계시민사회의 당당한 동료이자 구성원이 될 수 있는 ‘명품 국가’가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공공외교의 다원화와 함께 미디어 외교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저자는 “국제 사회의 권력질서가 재편되고 있음에도 우리는 여전히 미국만 바라보는 해바라기 외교를 하고 있다.”면서 “국가 이익이라는 이름으로 이라크, 아프가니스탄에 지속적으로 군대를 보내고, 일본의 식민지 지배는 비판하면서도 우리가 베트남에서 저지른 잘못은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1만 8000원.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1-23 18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