統攝? 通涉! 지식만 끌어모으지 말라 생명 온전히 아는게 통섭

統攝? 通涉! 지식만 끌어모으지 말라 생명 온전히 아는게 통섭

입력 2010-02-20 00:00
수정 2010-02-20 00: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 통섭의 기술 】 최민자 지음 모시는사람들 펴냄

최근 학계, 특히 인문학계와 이론과학계의 제일의 화두는 ‘통섭’(統攝·consilience)이다. 통섭은 근대 학문의 성립 이후 선긋기가 시작된 대학 학과 중심의 분열된 연구를 부정하며, 극도로 미세해지는 전문화 추세 대신 각 학문 방법론 간의 교류와 통합을 주장했다.

미국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이론을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가 번역하면서 국내에서 유행한 이 개념은, 이제 애초 ‘학문 간 통합 연구’의 의미를 넘어서고 있다. 최근 통섭은 새 시대의 지식 창조를 위한 획기적인 패러다임 수준으로 추종받고 있으며, 소통과 화합이란 의미로 생활 전반에서까지 쓰이고 있다.

●지식 통섭 아닌 지성 통섭

최민자 성신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낸 ‘통섭의 기술’(모시는사람들 펴냄)은 이러한 기존 통섭 담론에 대한 차원 높은 비판을 보여준다. 최 교수는 통섭을 지식 패러다임의 수준을 넘어 “아(我)와 비아(非我)의 자의식을 융섭하는 지성 차원의 영적 기술”이라고 정의한다. 그러면서 삶과 죽음, 정신과 물질 등 인간 문명과 존재론의 문제로까지 통섭을 확대해 고찰한다.

●마고·삼신 등 동양사상 뛰어나

‘지식시대에서 지성시대로’라고 붙은 부제는 이러한 글쓴이의 집필 의도를 함축적으로 보여준다. 지은이는 진정한 통섭은 ‘지식의 통섭’이 아닌 ‘지성의 통섭’이 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기존에 이뤄지고 있는 ‘지식의 통섭’은 학문으로 축적된 지식들의 재조합일 뿐, 새로운 삶의 지평을 열어주지 못한다고도 본다.

더구나 그가 볼 때 지식의 통섭은, 애초에 존재하지도 않았으나 근대 이후에 성립된 이원론적 시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런 분별적인 근대의 눈에 익숙한 서양의 입장에서 볼 때 지식의 통섭은 획기적인 것이지만, 사실 동양에는 그보다 뛰어난 통섭의 사상들이 있었다는 통찰이다. 그러면서 마고(麻姑)의 삼신사상과 천부(天符)사상, 생태적 사유 등을 실례로 든다.

이런 융합적 사고를 최 교수는 ‘지성의 통섭’으로 이름 붙이고, “우주의 본질인 생명에 대한 온전한 앎을 높여 가는 통섭”이라 이해한다. 이어 이 지성의 통섭이 학문 통합을 넘어 과학, 예술, 종교 전반과 인간의 삶이 조화를 이루는 길을 다양한 층위로 제시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런 의도에서 지은이는 통섭의 한자도 기존의 ‘끌어와 모은다.’는 뜻의 ‘統攝’이 아니라 ‘통하여 건넌다.’는 뜻의 ‘通涉’이라고 썼다. 하지만 기존의 ‘지식의 통섭’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현실에서 통섭 활용할 기본틀도

그는 “서양의 분석적 사고와 동양의 종합적 사고가 융합할 때 비로소 완전한 통섭이 가능해진다.”고 설파한다. 그리고 이 완전한 통섭으로 하나됨을 실천할 때 인류의 새로운 문명을 열 수 있다고 예견한다.

책은 물론 존재론, 문명론 등 고고한 담론만 담고 있지는 않다. 이렇게 제시한 지성의 통섭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섭의 정치, 예술과 과학의 통섭, 과학과 종교의 통섭 등 현실 세계에서 통섭을 활용할 수 있는 기본틀을 제시한다.

국가 중심의 권력 지향 정치가 아닌 지구공동체를 위한 생명 지향 정치를 제시하고, 물질과 비물질을 위한 과학과 종교 각각의 역할을 분석하는 식이다. 나아가 이러한 통섭을 실제 생활에서 실천할 방법론을 고민하고, 이것이 향후 인류의 문화 다양성 확대와 휴머니즘 재발견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분석한다. 2만 5000원.

강병철기자 bckang@seoul.co.kr
2010-02-20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