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창틀·숲·바다 물결 등 글감으로

아침 창틀·숲·바다 물결 등 글감으로

입력 2010-10-02 00:00
수정 2010-10-02 00: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윤대녕 산문집 ‘이 모든 극적인 순간들’

“내가 봄을 탄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마흔 살 무렵이었다. 바야흐로 나뭇가지에 연둣빛 새싹이 돋고 산마다 진달래꽃이 피어 있는 것을 보면 좀처럼 감정을 주체하기 힘들었다. 세상이 이렇게 아름다워도 되는 것인가? 라는 새삼스러운 의혹에 시달렸다.”

늘 새로운 이야기를 지어내기 바빴던 소설가는 일상에서 벌어지는 작은 움직임과 소리에 불현듯 예민해진 자신을 발견했다. 매일매일의 삶 속에서 피어오르는 감상을 쓰지 않고는 배길 수 없었다. 윤대녕의 산문집 ‘이 모든 극적인 순간들’(푸르메 펴냄)은 그렇게 세상에 나오게 됐다.

이른 아침에 보는 창틀, 싱그러운 숲, 고기 비늘처럼 반짝이는 바다의 물결, 베란다에서 빨래 주름을 펴기 위해 옷을 터는 소리 등 사소한 것들이 글의 소재가 됐다. “나는 숲에서 들려오는 그 소리를 처음 들었다. 긴가민가했는데 숲 쪽으로 귀를 기울이니 따르르르르… 혹은 또르르르르… 하는 소리가 규칙적으로 들려오는 것이었다. 마치 목탁 소리의 후렴처럼 말이다. 나는 그 소리가 신기했을뿐더러 몹시도 반가웠다. 오랫동안 잊고 있었던 옛 친구가 어느 날 찾아온 기분이었다. 더 이상 의심할 나위 없이 그것은 딱따구리 소리가 분명했다.”

예전 같으면 그냥 흘려보냈을 사물과 자연의 미세한 떨림은 그의 예민한 촉수를 거치며 새삼 애틋하고 간절하게 전달된다.

등단 20년, 한국문학의 대표로 우뚝 선 그는 폼 잡지 않고 자신을 솔직하게 드러냈다. 신춘문예에 여러 차례 낙선한 그가 당선 소식을 들은 후 공중전화 부스 안에서 비로소 작가가 된 자신의 이름을 불러보았다는 대목에서 젊은 시절 그가 느꼈을 설렘과 흥분이 어렵지 않게 이입된다. 베테랑 작가로 글쓰기에 이골이 날 법한데 여전히 소화불량, 울렁증, 구토가 일어나는 ‘글복통’을 앓고 있다는 고백에서 창작의 고통은 줄지 않는다는 것을 느낀다.

책읽기란 그에게 “미처 알지 못했던 자신과 세계의 의미를 깨달아 가는 과정”이다. 그동안 읽은 책 가운데 29권을 선별 소개한 독서일기는 그가 겪어온 시간으로의 초대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0-10-02 19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