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 손잡은 그 순간, 비로소 세상이 열렸다

너와 나 손잡은 그 순간, 비로소 세상이 열렸다

입력 2010-10-30 00:00
수정 2010-10-3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공감의 시대】제러미 리프킨 지음 민음사 펴냄

생후 18개월이 지난 아기는 다른 아이가 고통을 받는 광경을 보면 덩달아 불편한 표정을 지으며 다가가 장난감을 건네거나 안아 주거나 자기 엄마에게 데리고 가서 달래 주도록 한다.

위기의 시대마다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우리 시대의 독보적인 사회사상가로 평가받는 제러미 리프킨이 신작 ‘공감의 시대’(이경남 옮김, 민음사 펴냄)를 통해 이제야 우리는 우리의 모습에서 ‘호모 엠파티쿠스’(Homo empathicus·공감하는 인간)를 찾았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미래학자이자 사회사상가인 제러미 리프킨은 이제야 우리 모습에서 ‘호모 엠파티쿠스’(공감하는 인간)를 찾았다며 처음부터 관계가 개인을 만든다고 말한다. 사진은 르네상스 시대 거장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미래학자이자 사회사상가인 제러미 리프킨은 이제야 우리 모습에서 ‘호모 엠파티쿠스’(공감하는 인간)를 찾았다며 처음부터 관계가 개인을 만든다고 말한다. 사진은 르네상스 시대 거장 미켈란젤로의 ‘천지창조’.
리프킨의 1995년 작 ‘노동의 종말’은 노동 시간 삭감을 위한 사회 운동의 기폭제 역할을 했고, 1998년 작 ‘바이오테크 시대’는 생명공학 연구가 가져올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환기시켰다.

‘소유의 종말’(2000년)에서는 소유의 시대는 가고 시간과 체험의 상품화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진단했으며 ‘유러피언 드림’(2004년)에서는 아메리칸 드림의 종말을 고하며 새로운 시대의 비전을 제시했다.

또 한번 미래학자로서의 역량을 발휘한 리프킨은 “인간이 갈수록 정교하고 상호 의존적이고 복잡한 사회구조를 지향하는 까닭은 생존과 번영 때문만이 아니다. 우리는 본성적으로 끊임없이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교섭을 넓히고 심화시키려 하고, 더 큰 사회에 참여하여 우리 자신을 초월하려는 정서를 가진 종이라면, 복잡해지는 사회구조는 그런 인간의 여정에 탈것을 제공해 주는 셈”이라고 설명한다.

리프킨은 838쪽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책에서 다양한 이론과 실험 사례를 제시한다. 이 가운데 소아과 의사 도널드 위니콧의 주장에 따르면 아기는 엄마의 배 속에서 만들어지지만, 하나의 개인은 관계를 통해 만들어진다.

요즘 산부인과는 최신 육아 이론을 받아들여 갓 태어난 아기에게 엄마의 젖꼭지를 빨 시간을 준다. 이때 눈조차 못 뜨는 빨간 핏덩이들은 본능과 냄새만으로 엄마의 젖꼭지를 찾아서 빈 젖을 빤다.

“이 첫 번째 수유에서 엄마는 아이가 스스로 젖꼭지를 찾게 배려해 줘야 하고, 더욱 중요한 것은 아기가 젖꼭지를 만들었고 그렇게 함으로써 비록 희미하게나마 세상을 만들었다.”는 느낌이 들게 해줘야 한다는 것이 위니콧의 주장이다.

예를 들어 엄마가 아이에게 젖꼭지를 즐겁게 찾아내어 마법적인 힘으로 젖꼭지를 만들어 낼 기회를 주지 않고 아이의 입에 곧바로 젖가슴을 물려 준다면, 아이는 감각적인 기억을 만들 기회를 빼앗기게 되고 결국 아이는 자신과 별개인 다른 사람의 뜻에 따라 행동하는 분리된 개인으로 자신을 인식하게 된다. 엄마가 물려준 젖꼭지를 문 아기는 결코 세상을 만들어 내지 못하고, 외적인 관계를 맺기 어려우며, 장차 하나의 개인으로 성장할 수 없다고 위니콧은 경고한다. 처음부터 관계가 개인을 만든다는 것이 리프킨의 덧붙여지는 설명이다.

이처럼 ‘타고난 유대감에 대한 요구’를 가진 인간의 본성인 공감은 자본주의 경제활동도 바꾸어 놓았다.

음반 회사는 CD를 파는 대신 인터넷 접속으로 거래 비용을 줄였고, 브리태니커 사전은 온라인판으로 거래 비용을 제거했다. 미국에서 성인식의 상징이었던 자동차의 개념도 바뀌어서 지금은 도로 위의 40%가 리스(대여) 차량이다. 이처럼 21세기 공감의 시대에 등장하는 새로운 의식은 게임의 원리를 바꾸면서 모든 생활 방식과 경제 기반을 변화시켜 놓고 있다.

무서운 속도로 세계인을 하나로 이어 주는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세계인에 어울리는 시야를 갖게 해 주는 도시화, 국제적인 이주의 물결, 다중 정체성과 이중 국적의 증가, 유행처럼 번지는 세계 여행과 관광 등은 다양한 형태로 인류를 하나로 묶어준다. 그 결과 동성애자와 장애인을 포함하여 인류사에서 소외되었던 이들이 모두 타자가 아니라 공감을 통해 함께 살아야 할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다.

인간의 생물학적 특성상 밀접한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단위는 30명에서 150명을 넘지 못한다. 하지만 우리의 생물학적 구조에 내장된 공감 성향은 인류를 하나의 대가족으로 묶어준다. 지구촌의 붕괴를 피하려면 생물권 전체와 집단적으로 우호적 관계를 맺을 때 우리의 미래를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이 리프킨의 제안이다. 3만 3000원.

윤창수기자 geo@seoul.co.kr
2010-10-30 16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