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 ‘읽어라, 청춘’] 프란츠 카프카는

[서울대 추천 도서 100선 ‘읽어라, 청춘’] 프란츠 카프카는

입력 2014-02-11 00:00
수정 2014-02-1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친에 반감 컸던 프라하의 소외자 사후에 작품 호평

“우리를 찌르거나 충격을 주는 책이 아니라면 읽을 필요가 없다. 만일 우리가 읽는 책이 얼굴을 향해 주먹을 날리며 우리를 깨우지 않는다면 읽을 의미가 있는가. 책이란 우리 안의 꽁꽁 언 바다를 깨뜨려버리는 도끼여야 한다.” 카프카의 말이 아니더라도 ‘변신’에 드러난 삶의 부조리는 우리에게 정면으로 주먹을 날린다.

프란츠 카프카(1883년 7월 3일~1924년 6월 3일)는 체코 프라하에서 태어나 성장하며 일하다 사망했다. 성장기 지배적인 품성의 아버지에게 품었던 반감은 평생 카프카에게 영향을 미쳤다. 카프카는 첫 번째 직장인 이탈리아계 보험회사보다 두 번째 직장인 노동자 상해 보험회사 업무에 호의적이었는데, 두 번째 직장에서는 오후 2시에 일을 마치고 나머지 시간을 글 쓰는데 몰두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몇 편의 단편만이 그의 생전에 발표됐지만, 대중은 작품을 이해하지 못했다. 자신의 원고를 모두 파기시켜 달라던 카프카의 유언은 지켜지지 않았고, 사후에 공개된 그의 작품은 대중의 이해와 평론가들의 호평을 얻었다. 혹자는 “카프카가 노벨문학상을 받지 못하면서 이 상의 권위가 실추됐다”고 평하기도 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2-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