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관 녹아든 다산·연암의 서재 엿보기

가치관 녹아든 다산·연암의 서재 엿보기

입력 2015-01-02 17:46
업데이트 2015-01-03 01: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재에 살다/박철상 지음/문학동네/320쪽/1만 7000원

여유당(與猶堂). 다산 정약용의 서재 이름이다. “여(與)가 겨울에 시내를 건너는 것처럼 하고, 유(猶)가 사방에서 엿보는 것을 두려워하듯 하라”는 경구에서 따왔다. 노자가 말한 ‘도덕경’ 제15장에 나오는 문장이다.

‘여’는 큰 코끼리다. 덩치 큰 동물이 살얼음 언 시내를 건너면 얼음은 깨지고 코끼리는 물에 빠지게 될 것이다. 당연히 조심스레 걷거나 아예 그 상황을 피해야 한다. ‘유’ 또한 아주 조심스러운 동물이다. 사전적으로는 원숭이를 뜻하는데 사방에서 자신을 노려보기라도 하듯 매사 신중하게 행동한다. 촉망받는 젊은 학자에서 유배지를 전전하는 죄인까지,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던 다산은 남은 생을 조심스레 살피며 갈고닦겠다는 다짐에서 이 같은 이름을 지은 것으로 전해진다.

벼슬 자리 하나 못 했던 시골 선비 황상의 당호도 곱씹어 볼 만하다. 일속산방(一粟山房). 좁쌀 한 톨만 한 집이란 뜻이다. 한데 후대의 문사 김류가 당호에 닮긴 뜻을 꿰뚫어 봤다. 그는 “방 안에 담긴 웅지는 불가에 전하는 ‘수미산을 담은 겨자씨’처럼 크고 넓다”고 했다. 작은 방에 온 세상이 들어 있다는 얘기다.

새 책 ‘서재에 살다’는 이처럼 서재라는 공간을 통해 19세기 북학과 개혁의 시대를 살다 간 지식인 24인의 삶을 들여다보고 있다. 연암(박지원), 완당(김정희), 담헌(홍대용) 등 귀에 익은 이름들은 사실 서재의 이름이다. 이들은 서재 이름을 자신의 호로 삼아 그 안에 평생 기억하려 했던 삶의 방향과 가치관을 담았다.

저자는 “19세기처럼 외래문화에 노출된 채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가 스스로를 되돌아볼 수 있는 실마리가 바로 당대 지식인들의 서재”라고 설명했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1-03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