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국민건강보험공단 산하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건강보장정책 수립을 위한 주요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내놨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무려 148조원(2015년 기준 148조 2514억원)을 훌쩍 넘는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은 질병에 따른 직접적인 의료비는 물론 조기사망에 따른 미래소득 손실액, 의료이용에 따른 생산성 손실액, 간병비, 교통비 등을 합한 것이다. 건강의 사회적 가치를 분석할 때 이용하는 데, 지난 10년간 해마다 6.8%씩 꾸준히 증가했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태어나는 순간 모든 인간에게 죽음은 필연이고, 삶의 과정에서 질병 또한 피할 수 없다. 당연히 모든 인간은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유발할 수밖에 없다. 캐나다 캘거리대학교 명예교수로 의료사회학에 평생 천착한 아서 프랭크의 ‘아픈 몸을 살다’는 자신이 겪은 질병을 통찰한 개인적 에세이지만, 묵직한 사회적 담론을 얹어 놓은 흔치 않은 책이다. 그는 39세에 심장마비를, 이듬해 고환암 진단을 받고 수술과 화학요법 등으로 회복되었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질병의 와중에 그는 사회학자로서 죽음을 통찰할 수밖에 없었고, 나아가 주변 사람들의 대응과 사회적 맥락을 숙고했다. 우선 병원이다. “아픈 사람들을 수용하기 위해 지어 놓은 병원과 의료 시설들”은 그가 보기에 “위험한 환상”을 낳는다. “아픈 사람을 건강한 사람들에게서 떨어뜨려 가둬 놓음으로써 질병 자체도 아픈 사람의 삶 안에 가둬 놓은 수 있다”는 환상은 건강과 아픔을 이분법적으로 나눔으로써 아픈 이들의 심적, 환경적 변화를 철저히 외면하게 만든다. 아픈 많은 사람들이 회복하지 못함에도 “회복이 질병의 이상적인 결말”이라고 믿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모든 사람이 회복하지 못한다면 그것에 대한 사회적 대응이 필요한데, 현대의 병원은 이를 용인하지 않는다. 한국과 미국 등과는 달리 캐나다는 대개의 치료비용을 환자나 보험회사가 아닌 주정부가 지급하는데도, 병원 그 자체가 갖는 한계가 분명하다. 질병을 온전히 환자 저마다가 짊어져야 할 문제로 인식하기보다 회복만이 해피엔딩이라는 전형적인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이 전 세계적으로 높아질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장동석 출판평론가
아서 프랭크는 “질병을 적극적으로 살아내야”만 아픈 이유는 물론 삶과 죽음의 함의까지도 숙고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질병에 관해 생각해야 하고 이야기해야 하며 어떤 사람들, 곧 나 같은 사람들은 질병을 주제로 써야 한다.” 프랭크는 질병이 불행한 일도, 피해야 하는 일도, 더더욱 빨리 벗어나야 하는 일도 아니라고 강조한다. 시간과 자원의 낭비가 아니라 오히려 “새롭게 되는 기회”이자 “다른 삶으로 건너가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충만한 경험이다. 하지만 모두가 이런 충만함을 누릴 수는 없다. 의료진이 대화하지 않을 뿐 아니라 환자와 가족이, 환자들끼리, 결정적으로 질병을 가진 나 자신과 대화하지 않기 때문이다. 대화의 물꼬가 트이면 삶과 질병은 물론 끝내 죽음에 이르더라도 그 가치와 의미는 달라질 수 있다.
‘아픈 몸을 살다’가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담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개인이 질병을 통해 통찰한 깨달음은 사회적 맥락을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 강박적으로 건강을 추구하는 사회가 오히려 질병의 사회경제적 비용을 늘리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 볼 일이다.
장동석 출판평론가
2018-01-06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