똥 떼고 대가리 빼고… 멸치와의 모험, 맛난 잔치국수로 완성!

똥 떼고 대가리 빼고… 멸치와의 모험, 맛난 잔치국수로 완성!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24-03-08 00:33
업데이트 2024-03-08 00: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멸치 다듬기
이상교 지음/밤코 그림
문학동네/48쪽/1만 5000원

이미지 확대
시원한 잔치국수의 핵심이자 도시락 반찬의 진리인 멸치. 한국인의 식탁에서 빠질 수 없는 이 식재료를 먹기 위해서는 ‘똥 떼고 대가리 빼는’ 지난한 과업이 필요하다. 혼자 하면 그야말로 ‘단순노동의 극치’이지만 함께 하면 리듬감 넘치는 유희가 된다. ‘차례를 기다리는 멸치/많기도 많다./똥 떼고/대가리 빼고/똥 떼고/대가리 빼고’를 무한 반복하다 보면 말이다.

이 일상의 귀찮고 평범한 작업에서 ‘세계와 경계를 종횡무진하는 멸치’라는 재치 있는 상상을 펼치는 책 ‘멸치 다듬기’는 2019년 나온 이상교 작가의 동시집 ‘찰방찰방 밤을 건너’에 실린 시 ‘멸치 다듬기’를 뿌리로 했다. 편집자들이 이 시에서 완성도 높은 그림책이 나오겠다는 영감을 얻어 기획에 나섰고, 차진 말맛과 경쾌한 운율의 시를 읽은 밤코 작가는 그림책 작업을 선뜻 수락했다.
이미지 확대
시에 살을 덧댄 이 작가의 시놉시스에 따라 극히 간결한 시 텍스트를 뼈대로 하는 그림책은 거침없는 상상과 재치가 넘실대는 그림의 힘이 유독 세다. 특히 ‘똥과 머리가 사정없이 떼일 각오로’ 신문지 위에 맥없이 누워 있는 멸치 사이 언뜻언뜻 보이는 신문 기사와 광고, 네 컷 만화, 오늘의 운세 등이 압권이다.

어리둥절 딸려 온 꼴뚜기와 잔새우, 게와 함께 차례를 기다리는 멸치들은 “훤칠한 멸치 모여라”라는 배우 공고에 어느새 잔뜩 분장한 ‘멸레리나’(멸치와 발레리나의 합성어)가 되어 무대 위에서 우아한 춤사위를 벌인다. 한 보도 사진에는 관람객으로 도열한 멸치들이 시대의 명작 ‘진주 귀걸이를 한 멸치’ 감상을 위해 전시장을 메우고 있다. 대우주 시대를 여는 ‘우주 멸치’로 신작 영화의 주인공이 됐다가 한여름 해수욕장 인파에 몸살을 앓는 피서객으로 신문지상에 오르내리기도 한다.

이 와중에 멸치 몸통 모인 데 엉뚱하게 대가리와 똥이 들어가고, 대가리와 똥 모인 데 몸통이 섞이는 ‘파국’이 일어나기도 한다. 끝 모를 멸치 똥 따기 작전은 어느새 멸치국수라는 다정한 한끼로 가족을 환대해 준다. 귀찮은 멸치 다듬기를 신나는 모험의 여정으로 바꾸는 그림책의 묘미와 가치가 새록새록하다.

정서린 기자
2024-03-08 1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