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왜 ‘큰 것’에 집착할까

인간은 왜 ‘큰 것’에 집착할까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7-19 01:41
수정 2024-07-19 01: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사이즈, 세상은 크기로 만들어졌다/바츨라프 스밀 지음/이한음 옮김/김영사/428쪽/2만 2000원

크기는 만물의 척도·세상의 작동 원리… 풍요가 현대 사회 성장·팽창 부추겨
이미지 확대
저자 바츨라프 스밀
저자 바츨라프 스밀
인간은 작은 것보다 큰 것에 관심이 많다. 혹등고래의 멸종 위기나 수족관의 돌고래 죽음에는 민감해도 함께 갇혀 있는 수많은 작은 물고기나 혹등고래의 먹이인 크릴새우에 감정이입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큰 키를 선호하고, 큰 집과 큰 차를 자랑하며, 가장 큰 건물에 경외심을 갖는다. 물론 작은 것에도 관심을 갖긴 한다. 경우의 수가 상대적으로 적을 뿐이다.

인간은 이처럼 물리적이고 개념적인 ‘크기의 세계’에서 살아가고 있다. ‘사이즈, 세상은 크기로 만들어졌다’는 인류가 생각하고 관찰하고 접하고 다루는 크기의 거의 모든 것을 담은 책이다. 크기가 어떻게 기능하고 어떻게 일상을 지배하는지 조목조목 파헤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사진 위는 이탈리아 피렌체의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돔이다. 돔의 내부 지름이 무려 43m에 달한다. 사진 아래는 로마의 템피에토다. 돔의 내부 지름이 4.5m에 불과하지만 완벽한 비례를 중시한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양식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꼽힌다. 하지만 관광객 대부분이 방문하는 곳은 거대한 돔을 가진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이다. 김영사 제공
사진 위는 이탈리아 피렌체의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의 돔이다. 돔의 내부 지름이 무려 43m에 달한다. 사진 아래는 로마의 템피에토다. 돔의 내부 지름이 4.5m에 불과하지만 완벽한 비례를 중시한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양식을 대표하는 걸작으로 꼽힌다. 하지만 관광객 대부분이 방문하는 곳은 거대한 돔을 가진 산타마리아 델 피오레 대성당이다.
김영사 제공
저자는 방대한 지식을 동원해 생명체(미생물에서 고래까지)와 지구(소행성에서 화산 폭발까지), 기술 발전(건축에서 교통까지), 사회와 경제(도시에서 임금까지)를 형성하는 주요 과정들의 규칙성과 특이성을 설명하고 있다. 저자가 이처럼 크기에 천착하는 건 “크기를 알아야 세상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크기야말로 만물의 척도이자 세상의 작동 원리라는 것이다.

크기를 생각하다 보면 자연스레 의문도 생긴다. 현대 세계는 왜 큰 것에 집착할까? 클수록 우월할까? 무한한 성장은 가능할까? 우리는 어떤 크기를 기준으로 삼고, 어떤 크기에 감명받을까? 책은 이런 의문들에 하나하나 답을 준다.
이미지 확대
저자는 “인간 세상의 모든 부문은 널려 있는 평균이 아니라 극단이 지배한다”며 “인간은 필요 이상으로 큰 것에 집착하고 있다”고 했다. 오늘날의 스포츠유틸리티차(SUV)는 1950년대 승용차와 비교하면 무게가 2~3배에 달하고 미국의 평균 주택 면적은 1950년에 비해 2.5배 이상 넓어졌다. 집이 커지면서 냉장고와 TV도 덩달아 커졌다. 이러한 크기 증가 뒤에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역사상 유례없을 만큼 증가한 각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있다. 그러니까 풍요가 현대 사회의 성장과 팽창을 부추기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연필은 손에 쥘 수 있어야 하고, 숟가락도 입의 크기에 맞아야 쓸 수 있다. 가구도, 집도, 건물도 마찬가지다. 크다고 다 좋을 순 없다. 사람도 그렇다. 키가 클수록 연평균 소득 등은 증가하지만 암에 걸릴 위험이 커지고, 기대수명도 1㎝ 커질 때마다 0.4~0.63년 줄어든다.

저자는 1장에서 크기의 역할을 개괄한 뒤 2장에서 인간이 크기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알아본다. 3장에선 크기 사이의 관계인 비례, 대칭, 비율, 황금비 등을 살피고 4장에선 인체공학 등 크기의 설계를 통해 크기의 팽창과 한계에 관해 짚어본다. 5장과 6장에서는 키나 체중 등이 다른 크기로 변할 때 인간과 동물, 기계에서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7장과 8장에선 각 개인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소득과 부 등 크기의 분포에 관해 파고든다.

2024-07-19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