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머니 영향력 47% 가장 커 “내 삶에 만족한다” 43%…중고생 ‘종교의식 조사’ 결과
한국 청소년들은 종교를 갖거나 신앙생활을 하는 데 있어서 가족, 특히 어머니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삶에 만족하는 청소년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기독교연합신문이 글로벌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중고생 1000명을 대상으로 지난 1월 20일∼2월 5일 실시해 3일 공개한 ‘종교의식’ 조사 결과 확인됐다.기독교·비기독교인 각각 500명이 참여한 조사에서 기독교 청소년들은 교회 출석의 계기로 42.8%가 ‘모태신앙, 혹은 어릴 때부터 교회를 다녀서’, 33.7%가 ‘가족, 친척의 전도를 받아서’라고 응답했다. 76.5%의 기독 청소년들이 가족에 의해 신앙을 갖게 된 셈이다. 특히 어머니라는 응답이 47.2%인 데 비해 아버지는 9.8%에 불과해 어머니의 영향력이 신앙 형성에 가장 큰 요인이었다. 비기독교 청소년도 절반인 50.1%가 ‘전도받을 때 가장 신뢰하는 인물’을 부모라고 답해 신앙교육에 가정 역할이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됐다.
교회에 대한 인식에 대해서는 66%가 ‘긍정적’, 34%가 ‘부정적’으로 보았다. 이 가운데 비기독교인 청소년들은 ‘긍정적’ 40.7%, ‘부정적’ 59.3%로 응답해 60%에 가까운 비기독교 청소년들이 교회를 좋지 않게 여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비기독교 학생들이 종교를 믿지 않는 이유는 ‘종교를 가질 필요성을 못 느껴서’(36.2%)가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믿음이 가지 않아서’(22.3%), ‘귀찮아서’(14.6%), ‘종교인에 대한 불신’(8.3%) 순이었다. 기독 학생들은 신앙생활의 이유로 ‘구원과 영생’(33.7%), 가족·부모의 권유(26.2%), ‘마음의 평안’(23.6%), ‘건강·재물·성공 등 축복’(7.5%), ‘친구와의 교제’(5.9%) 등을 꼽아 대조를 이뤘다.
자신의 삶에 얼마나 만족하느냐는 물음에는 43.3%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했으며 이 가운데 기독 청소년의 만족도가 46.7%로 비기독 청소년(43.3%)보다 약간 높았다. 한편 기독 청소년의 23.1%, 비기독 청소년의 5.2%가 ‘음주 절대 불가’에 응답한 것을 비롯해 이혼은 기독 청소년 54.1%와 비기독 청소년 79%가, 혼전 성관계는 기독 청소년 38.4%와 비기독 청소년 63.9%가 긍정적으로 응답해 기독교인 청소년이 비기독교인 청소년에 비해 보수적인 것으로 조사됐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
2014-07-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