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와 소나기가 갈마드는 여름철 서울의 한 대형 서점에서 어린이들과 학부모들이 동화책을 보며 더위를 식히고 있다.
서울신문 DB
서울신문 DB
문예 계간지 ‘창비어린이’ 여름호(81호)는 ‘동화-이야기의 미래’라는 주제의 창간 20주년 기념 세미나를 지상 중계했다. 어린이 논픽션 작가 이지유는 ‘동화, 과학철학을 만나다’라는 글을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과학 소양은 ‘과학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사회적 경험에 적용하는 것’이다. 과학 관련 내용의 독해력과 이해력, 과학을 다루는 매체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책임감, 협력, 공감, 문제해결 능력 같은 태도까지 과학 소양의 중요한 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최근 과학 소양의 트렌드는 모든 것의 중심에 인간을 두는 인본주의를 벗어나 모든 생명체와 사물을 세상의 중심에 두는 탈 인본주의로 바뀌고 있다.
이 때문에 어떤 가르침이나 교훈을 주기 위해 생물이나 무생물을 의인화한 작품이나 “동물이든 식물이든 심지어 돌이든 냄비든 그것을 인간인 자신의 목적만을 위해 쓰고 해석하면 어린이들은 그걸 단박에 알아차리고 흥미를 잃는다”라고 이 작가는 지적했다. 그는 “독자들의 수준이 높아지면 얕은 이해로 쓴 작품은 모두 역사 속에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계간지 ‘창비어린이’ 2023년 여름호
이 작가는 어린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SF가 비판받는 이유도 ‘이야기를 거꾸로 쓰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SF가 미래에 있을 법한 캐릭터와 사건을 빌려와 현재의 문제를 비유해 서사를 만드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망하는 지름길”이라고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다. 현재의 문제를 현재의 방식으로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다들 알고 있는데 알지 못하는 미래를 끌어들이는 것은 독자들에게 받아들여지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동화는 독자를 변화시키고 독자가 동화를 변화시키는 상호작용 속에 발전하는 만큼 어린이·청소년을 작품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뿐만 아니라 동화작가들도 독자들로부터 피드백을 받아 끊임없이 자기 변신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 작가는 조언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