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금연 성공기
직업이 정형외과 의사인 김중현(45)씨는 소문난 골초였다. 하루에 두 갑은 기본이고 술자리라도 갖는 날이면 세 갑까지 피워댔다. 그는 “직업적인 긴장이 이어지다 보니 정말 끊기가 어려웠다.”고 토로했다. “의사가 담배 냄새를 풍기며 진료하는 것도 그렇고, 가족들도 성화였지만 20년이나 피운 담배를 단번에 끊는다는 게 쉽지 않았다.”고 말했다.그의 금연 결심은 고등학교에 다니던 딸이 갖다 준 한장의 유인물이 계기가 됐다. “담배가 해로운 건 알았지만 그걸 실체적으로 체감하지 못했고, 흡연에서 얻는 자기위안에 너무 의존한 것이 문제였다.”며 “그러던 중에 딸아이가 건넨 유인물 속 담배 유해물질의 리스트를 보고는 담배가 위로가 아니라 죽음이라고 믿게 됐다.”고 돌이켰다.
실제로 담배 속에는 250종의 독성물질과 발암물질이 들어있다. 일산화탄소·이산화질소·암모니아·메탄·아세틸렌 등의 유해가스에 타르·톨루엔·페놀·아닐린 등 미립자 성분도 다량 함유돼 있다. 미국 환경청(EPA)과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암물질로 규정한 물질만도 벤젠·2-나프틸아민·벤조피렌 등 47종이나 된다.
그날 저녁부터 김씨는 주저없이 금연에 돌입했다. 처음 한달은 술자리도 피했다. 처음엔 꽁초라도 주워 피우고 싶었지만 단호하게 뿌리쳤다. 담배 생각이 나면 계획에도 없는 회진을 하는 등 혼자 있는 시간을 줄였다. 그렇게 3주 쯤이 지나자 금단증상이 줄고 서서히 ‘담배를 안 피우는 습관’이 생기더란다. 보름 전 쯤 술자리에서 한 번 담배를 물어봤다는 김씨는 “어떨까 싶어 한 대 피워봤다가 너무 역겨워 내던지고 말았다.”며 “자신의 의지로만 금연을 하려고 하지 말고 필요하면 의사와 상의해 약물을 이용하면 큰 도움이 된다.”고 조언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01-0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