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은 약효도 떨어뜨린다

흡연은 약효도 떨어뜨린다

입력 2010-01-21 00:00
업데이트 2010-01-21 10: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흡연은 복용 중인 약물의 효과를 낮춰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어 환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흡연이 약물의 효과를 낮춰 예상치 못한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약물치료를 받는 흡연자들의 주의를 당부한다고 21일 밝혔다.

 담배에 들어 있는 벤조피렌 등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와 니코틴은 약물 분해를 촉진시키고 심장박동 증가와 관계있는 교감신경을 자극하므로 혈압상승이나 맥이 빨라지는 등의 부작용이 증가한다.

 또 약물 배설도 촉진해 비흡연자보다 더 많은 양의 약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식약청은 설명했다.

 예를 들어 하루 3잔의 커피를 마시던 흡연자가 금연하면 카페인 대사에 변화를 일으켜 같은 양의 커피를 마시더라도 혈중 카페인 농도가 높아져 잠이 오지 않을 수 있다.

 특히 간의 대사효소인 사이토크롬 P450(cytochrome p450)의 작용을 받는 진정제나 고혈압약 등은 흡연 여부에 따라 약효가 달라지거나 순간적 저혈압 등 원치 않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식약청은 “약물치료 중 흡연 여부가 달라졌을 때 약효가 떨어지거나 평소와 다른 이상반응이 느껴진다면 의사와 상담해 약물의 용량에 변화를 주거나 치료 중 담배를 완전히 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