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10명 중 6명은 1개월 이상 누적된 피로를 가진 것으로 조사됐다. 연세SK병원 웰빙클리닉은 서울의 20∼30대 남녀 직장인 169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60.9%인 103명에서 1개월 이상 피로가 누적돼 있었다고 최근 밝혔다. 특히 6개월 이상 피로감이 계속돼 ‘만성피로증후군’일 가능성이 큰 응답자도 25.4%(43명)나 됐다.
또 설문 대상자 중 절반이 넘는 58%(98명)는 두통·근육통·관절통·기타 전신 통증을 앓고 있었으며, 전체의 43.2%(73명)는 피로에 따른 업무능력 저하를 호소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직장인은 피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4%(97명)는 피로할 때 ‘그냥 참거나 쉰다.’고 답했으며,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한다.’는 답변은 20.1%(34명)에 그쳤다. ‘병원을 찾거나 약을 처방받는다.’는 적극적인 대책도 27.8%(49명)에 불과했다.
피로의 원인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33.7%)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운동 부족’(31.4%), ‘원인불명’(17.8%), ‘잦은 음주’(8.3%), ‘지병’(5.9%) 등의 순이었다.
의료진은 피로가 계속되면 전문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는 게 중요하며,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전자체액분석법(ECS)이나 타액호르몬검사(SHA)를 통해 영양 및 호르몬 상태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세SK병원 웰빙클리닉 윤민선 과장은 “피로를 질병으로 인식하지 않아 방치하기 쉽지만, 피로가 만성화되면 업무는 물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며 “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면 건강상태를 점검해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또 설문 대상자 중 절반이 넘는 58%(98명)는 두통·근육통·관절통·기타 전신 통증을 앓고 있었으며, 전체의 43.2%(73명)는 피로에 따른 업무능력 저하를 호소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직장인은 피로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7.4%(97명)는 피로할 때 ‘그냥 참거나 쉰다.’고 답했으며, ‘운동이나 취미생활을 한다.’는 답변은 20.1%(34명)에 그쳤다. ‘병원을 찾거나 약을 처방받는다.’는 적극적인 대책도 27.8%(49명)에 불과했다.
피로의 원인으로는 ‘과중한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33.7%)가 가장 많았으며, 이어 ‘운동 부족’(31.4%), ‘원인불명’(17.8%), ‘잦은 음주’(8.3%), ‘지병’(5.9%) 등의 순이었다.
의료진은 피로가 계속되면 전문 검사를 통해 원인을 찾는 게 중요하며, 원인질환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전자체액분석법(ECS)이나 타액호르몬검사(SHA)를 통해 영양 및 호르몬 상태를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연세SK병원 웰빙클리닉 윤민선 과장은 “피로를 질병으로 인식하지 않아 방치하기 쉽지만, 피로가 만성화되면 업무는 물론 일상생활에도 지장을 줄 수 있다.”며 “휴식을 취해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면 건강상태를 점검해보는 게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심재억기자 jeshim@seoul.co.kr
2010-04-05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