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베트인에게 불교는
라싸의 조캉사원과 포탈라궁, 시가체(日喀則)의 따시룬포사원 등 티베트 불교의 ‘성지’에서는 어김없이 남루한 옷차림의 티베트인들을 만날 수 있다. 라싸 및 시가체로 이어지는 국도에서도 온 몸을 던져 기도하며 성지로 향하는 티베트인들이 적지 않다. 나이가 지긋한 티베트인들은 남녀, 장소를 구분하지 않고 마니차(불교 경전이 적혀있는 원통형 불교 도구)를 돌리며 무엇인가를 갈구한다.시가체 따시룬포 사원에서 오체투지 형식의 절을 하는 티베트 할머니.
시가체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시가체 박홍환특파원 stinger@seoul.co.kr
티베트인들에 있어서 불교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어디에서건 티베트 불교의 상징인 오색깃발 경번(經幡)이 펄럭였다. 티베트인들은 오색깃발을 통해 자신의 소망이 하늘에 전달된다고 믿고 있다.
집 대문에는 불교의 만(卍)자와 유사한 티베트 불교 상징물을 붙여 놓고 있다. 당연히 승려들에 대한 존경심도 매우 높다. 중국 정부가 국제사회의 강력한 비난을 감수하면서까지 달라이 라마가 지명한 초에키 니마를 인정하지 않고, 기알첸 노르부를 11세 판첸 라마로 세운 까닭도 여기에 있다. 판첸 라마 등 활불들을 통해 티베트 불교를 움직이면 자연스럽게 티베트인들의 반(反)중 정서도 약화되리라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자칭린 정협 주석은 7일 열린 티베트 관련 회의에서 “티베트 전통불교 업무를 차질없이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티베트의 안정을 위해서는 티베트 불교에 대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주문이다.
라싸·시가체 박홍환특파원
2010-07-0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