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진단받은 성인들의 성장기
타인에 무신경하고 시간 개념 부족
늦은 약물치료, 습관 고치기 힘들어
방마다 시계·달력 여러 개 두고 생활
동아리·종교활동 등 통해 힘 얻기도
비교적 늦은 나이에 ADHD를 진단 받은 직장인 김창진(44·가명)씨. 사진 본인 제공
직장인 김창진(44·가명)씨는 지난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진단을 받았다. 대학 시절 게임 중독에 빠져 학교에도 가지 않고 학점이 2점대로 떨어지는데도 무기력했던 이유를 진단받고서야 알았다. 다행히 고비마다 자취방에 와서 억지로 끌고 나갔던 친구들 덕에 졸업할 수 있었다.
ADHD를 지닌 이에게 사회성은 양날의 칼과 같다. 타인에게 무신경하고, 중독에 취약하며, 시간 약속을 잘 지키지 않는 ADHD의 전형적 특징은 주변에 사람이 적어지게 만든다. 친구 없이 고립되면 자존감에 타격이 오고 조울증이나 불안장애 등 공존 질환에 취약해진다.
김씨 역시 우울증 상담을 위해 정신과를 찾았다가 우울증이 ADHD의 공존 질환이라는 진단을 받았다. 반면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지지는 이들을 다시 일으켜 세운다. 대학에선 동아리 학우들이, 지금은 교회 성가대 사람들이 김씨를 힘내게 한다.
성인 ADHD인 홍혜영(29·가명)씨는 시간 감각을 잃지 않기 위해 방마다 시계와 달력 여러 개를 두고 생활한다. 사진 본인 제공
웃거나 찡그린 사진들을 보면서 표정 구분 연습도 한다. 홍씨는 “과몰입 상태에 빠지면 상대방을 신경 쓰지 않고 자기 말만 늘어놓는 경우가 있다”면서 “상대의 표정을 살피며 말을 끊지 않는 훈련을 하고 있다”고 했다. 여성들이 많이 그렇듯 과잉행동 증세가 없는 홍씨가 ADHD인 줄 몰랐던 사람들은 소홀한 대접을 받는다고 오해해 곁을 떠나기도 했다.
약물치료를 해도 잘 고쳐지지 않는 특성들 때문에 학창 시절부터 줄곧 게으르다거나 무성의하다는 말을 들어 왔던 이들은 ADHD 아이들에게 두 가지 마음이 든다고 했다.
ADHD 진단을 받아도 이렇게 잘 사니까 걱정하지 말라는 마음 하나, 진단과 치료를 제때 받지 못해 학업과 관계에서 시행착오를 더 겪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당부가 또 하나의 마음이다.
ADHD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네이버 블로그 <세상 산만한 사람들>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24-03-07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