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드라마, 지금 우리 현장은①
최근 경기 소재의 한 드라마 제작 현장에서 스태프가 촬영을 위해 의상 등 소품을 옮기도 있다. 박지환 기자
수개월 전 일을 하다 다친 무릎은 시도 때도 없이 아프다. 드라마 제작사는 부상 당일 병원비만 내주고는 ‘모르쇠’다. 회사의 요구에 프리랜서 계약을 맺은 노씨에게 산재 신청은 딴 세상 얘기다. 통증 때문에 거동이 불편한 노씨가 2주간 재택 근무를 하자, 회사 대표는 “2주나 쉬게 해줬으니 쌩쌩하겠다”며 생색을 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인 ‘킹덤’ ‘오징어게임’ 등의 잇단 흥행으로 K드라마의 위상은 ‘한국 속 세계’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높아졌다. 업계에서는 올 한해 드라마 제작 편수가 역대 최대치가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카메라 너머 현장은 여전히 척박한 일터다.
서울신문이 희망연대노조 방송스태프지부·전국영화산업노조와 함께 지난 8일부터 일주일간 드라마 제작 스태프 205명을 상대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84.9%(174명)가 ‘장시간 노동’이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들 중 드라마 제작사와 근로계약서를 체결한 비율은 30.2%에 불과했다. 편집 등 후반작업자를 제외한 현장 인력만 따져보면 근로계약서 체결 비율이 19.5%로 더 낮았다.
방송사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으로부터 외주를 받아 실제 드라마를 만드는 제작사는 현장 감독의 지시를 따라 일하는 스태프들에게 “근로자가 아니지 않느냐”고 말한다. 주 52시간제 근무와 4대 보험 가입은 이들에게 다른 세상 얘기다.
일을 하다 크게 다쳐도 산재 처리는 커녕 드라마 흥행에 누가 될까 ‘쉬쉬’ 하며 넘어가는 일이 다반사다. “우린 다칠 바에 죽는 게 낫다”는 자조섞인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국내 제작사에게 외주를 맡기는 넷플릭스나 디즈니플러스 등 OTT 오리지널 드라마의 제작 현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김기영 희망연대노조 지부장은 “해외 OTT에서 많은 제작비를 투자한다곤 하지만 그게 곧 스태프의 처우 개선으로 이어지지 않은 게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서울신문은 3회에 걸쳐 화려함에 가려진 K드라마 제작 환경의 노동 실태를 조명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특별기획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