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 귀농귀촌지원센터 팜투어 현장
센터 입구 귀농의 집 현판 앞에서 귀농귀촌자, 1년 살기 체험 가족, 팜투어 참가자와 센터 관계자들이 함께 완주를 홍보하는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피·땀·눈물로 일구는 작은 텃밭…
공동 텃밭 내 각자 배정받은 구역에 가족 이름과 파종한 농작물 및 날짜가 적힌 팻말이 아기자기하게 설치돼 있다.
어떤 농작물 키워야 할까…
팜투어 참가자들이 농가 탐방으로 고산 금원농장을 방문해 무화과 작물을 살펴보고 있다.
손품·발품 들이는 예비 농군…
1년 살기 체험자들이 센터 내 텃밭에서 유기농 농사 준비를 위해 제초매트 고정 작업을 하고 있다.
지난달 킨텍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박람회장에선 전북 완주군 부스에 유독 많은 사람이 몰렸다. 완주군 귀농귀촌지원센터에서 지난 10일부터 진행된 3박 4일 팜투어 현장을 찾았다. 첫날은 15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정책 설명과 귀농 사례자 발표, 농가 방문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둘째 날에는 정착에 든든한 비빌 언덕이 돼 주는 로컬푸드 가공공장과 판매장을 방문해 멘토와의 만남 및 딸기 따기 체험 등을 했다.
투어에 참여한 김형갑(58)씨는 익산에서 공무원으로 재직 중이며 정년을 3년 앞두고 있다. 은퇴 후 100~200평 땅에 집을 짓고 텃밭을 일구는 로망을 꿈꾸며 참가했다고 한다. 정용준(51) 귀농귀촌지원센터장은 “맛보기 과정”이라며 “너무 막연하게 생각만 하기보다 일단 짧은 훑어보기 과정을 통해 완주의 맛을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체로 장기 1년 과정에 들어오는 사람들의 30%가량은 이 맛보기 과정인 귀농귀촌 팜투어를 통해 지원한다고 한다.
팜투어 참가자들이 농가 탐방으로 고산 금원농장을 방문해 당일 수확한 양배추와 무를 만져 보며 농장주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전북 완주군 구이 로컬푸드 가공센터 전경.
지난달 킨텍스에서 열린 귀농귀촌 박람회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완주군 홍보 부스에서 상담을 받고 있다.
2019년 1년 완주 살기 체험을 하고 2021년 4월 완주군 귀농귀촌팀의 비닐하우스 200평을 지원받아 현재 그라스팜(허브)농장을 운영 중인 이현희(44)씨가 작물을 돌보고 있다.
팜투어 귀농 사례 발표자 진남현씨가 센터에 도착해 차에서 내리고 있다.
●청년 인턴십·농업창업대출 지원도… “살아 보지 않고 알 수 없어”
2016년 서울에서 귀농한 90년대생 청년 진남현(34)씨는 대학 4학년 때 100만원을 들고 이곳에 내려왔다. 청년 인턴십과 삼례 지역 문화해설사, 캠프 스태프로 활동하면서 일정 소득을 창출하고 2017년 농업창업자금 대출로 전화도 잘 안 터지는 고산면 너멍골에 농지를 구입해 토종 작물을 유기농으로 재배하며 살고 있다. 그는 “자유가 좋아 이 길을 선택했지만 자유는 비싸다”면서 “혼자서 짓는 농사는 쉬운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요즘은 인터넷으로 못 찾을 것이 없다지만 귀농만은 예외다. 각 지역의 실상이 어떤지 알아야 제대로 된 결정을 할 텐데 그건 살아보지 않고는 알 수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누구나 농촌에서의 여유로운 삶을 꿈꾸지만 막상 현실에 옮기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여러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귀농귀촌 프로그램을 다양하게 체험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제2의 인생 설계를 해야 하는 이유다.
2022-05-25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