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수도여고 터에서 바라본 남산 아래 후암동 전경. 1980년대 이후 고급 사택과 관사, 문화주택단지의 필지가 쪼개지면서 연립주택이 들어서 부촌 이미지가 희석됐다.
첫 번째 탐방지 남대문교회는 빌딩 숲 속에 숨어 있었다. 고풍스런 교회 앞에 찬송비가 눈에 띄었는데, 가곡 ‘오빠 생각’을 작곡한 박태준 박사가 이 교회 지휘자였단다. 교회를 지나 남산도서관으로 향했다. 1970~1980년대에 서울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이라면 한 번쯤 공부한 추억이 있을 것이다. 남산도서관 옥상정원에 오르니 후암동 일대가 눈앞에 펼쳐졌다. 정면엔 아스라이 관악산이 보였고, 오른쪽 끝에는 빌딩이 즐비했다. 왼쪽은 남산자락이 동네 안으로 쑥 들어와 야산을 이루고 있었다. 후암동은 그 속에 안겨 있는 형상이었다.
남산도서관에서 좁은 골목길을 내려와서 후암초등학교 밑에 위치한 영락보린원 앞에 머물렀다. 후암동 골목은 참 재미있었다. 한 사람이 겨우 지나갈만한 고샅길은 차는 지나갈 수 없으나 두세 사람이 넉넉히 지나갈만한 골목길로 이어지고, 이내 다시 고샅길이 시작됐다. 그러다 차로를 만나기도 하고, 오거리나 삼거리를 만나기도 했다. 그런 길을 걸어 도착한 곳이 지월장이었다. 이곳에 남아 있는 유일한 일본 저택이라고 했다. 담 안 아름드리 단풍나무가 오랜 역사를 말해주는 듯했다. ‘감춰진 달을 가리키다’라는 옥호가 의미심장했다.
박정아 교육학 박사
박정아 교육학 박사
2018-12-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