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1일 발표한 세종시 수정안은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하는 대신 삼성 등 대기업을 유치, 교육·과학·산업 등 자족 기능을 강화해 세종시를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탈바꿈하는 내용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세종시에 입주할 대기업과 대학에 원형지 등 맞춤형 부지를 공급하고 기업도시 수준으로 지원하는 내용의 인센티브 제공 방안과 원주민 지원 대책 등이 포함됐다.
◇ 교육·과학·산업 등 자족기능 강화
정부는 세종시에 총 25만개의 일자리가 마련될 수 있도록 자족기능 용지를 기존 6.7%에서 20.7%로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첨단과학연구 거점 △첨단.녹색산업 △우수대학 △녹색도시 △글로벌 투자유치 기반 등 ‘5대 자족기능 유치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해 2015년까지 3조5천억원을 투자, 기초과학연구원과 융복합 연구센터, 중이온가속기 등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국토연구원 등 16개 국책연구기관도 당초 계획대로 이전한다.
이와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발광다이오드(LED)응용, 탄소저감기술 등과 관련된 국내외 기업과 연구개발(R&D)센터를 유치하게 된다.
삼성그룹(165만㎡)은 5개 계열사가 태양전지, LED,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연료용 전지, 바이오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투자하기로 확정했다. 웅진과 한화, 롯데그룹도 투자를 확정했다.
정운찬 국무총리가 11일 서울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브리핑실에서 교육과 과학을 중심으로하는 경제도시를 건설한다는 구상이 담긴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이를 위해 세종시에 입주할 대기업과 대학에 원형지 등 맞춤형 부지를 공급하고 기업도시 수준으로 지원하는 내용의 인센티브 제공 방안과 원주민 지원 대책 등이 포함됐다.
◇ 교육·과학·산업 등 자족기능 강화
정부는 세종시에 총 25만개의 일자리가 마련될 수 있도록 자족기능 용지를 기존 6.7%에서 20.7%로 대폭 확대했다.
아울러 △첨단과학연구 거점 △첨단.녹색산업 △우수대학 △녹색도시 △글로벌 투자유치 기반 등 ‘5대 자족기능 유치전략’을 마련했다.
먼저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유치해 2015년까지 3조5천억원을 투자, 기초과학연구원과 융복합 연구센터, 중이온가속기 등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국토연구원 등 16개 국책연구기관도 당초 계획대로 이전한다.
이와 연계해 신재생에너지, 발광다이오드(LED)응용, 탄소저감기술 등과 관련된 국내외 기업과 연구개발(R&D)센터를 유치하게 된다.
삼성그룹(165만㎡)은 5개 계열사가 태양전지, LED, 데이터프로세싱, 콜센터, 연료용 전지, 바이오헬스케어 등의 분야에 투자하기로 확정했다. 웅진과 한화, 롯데그룹도 투자를 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