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최북단 섬인 백령도는 인구가 4985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곳에는 웬만한 공공기관이 거의 다 들어와 있다. 작지만 독립된 공동체인 백령도를 꾸려나가기 위해서는 없어서 안될 시설들이다. 그러다 보니 기관장이 무려 31명에 달한다. 이 중에서 면장, 파출소장, 해경출장소장, 농협장, 전화국장 등 12명으로 구성된 협의체가 주요 현안을 논의한다.
백령도 인근 북방한계선 해상에서 북한의 포사격이 이뤄진 직후인 28일 이들은 긴급회동을 가졌다. 이와 별도로 이장회의와 면사무소 직원회의도 잇따라 열렸다. 이들 회의에서 주 의제로 떠오른 것은 백령도 내 방공호(주민대피시설)였다. 요즘은 세인들의 입에 거의 오르내리지 않는 시설이지만 북한이 포탄을 자꾸 쏴대는 상황에서 존재 의미가 새롭게 부각된 것.
문제는 67개에 달하는 방공호 대부분이 1960∼70년대에 지어진 반지하 형태의 낡은 것이서 첨단화된 현대전에서 별다른 효용이 없다는 점이다.
김정섭(52) 백령면장이 회의에서 방공호가 대폭 손질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당장 뾰족한 수가 없는 형편이다. 이것을 보강하려면 상당한 예산이 수반돼야 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러니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북한과의 국지전이 발생했을 경우 마땅히 대피할 곳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과 마주 보는 해안에 사는 주민 손모(58·진촌리)씨는 “주민들은 북한이 전쟁을 일으켰을 때 가장 먼저 백령도를 포로 때릴 것으로 여기는데 대피할 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것을 생각하면 끔찍하다.”고 말했다.
백령도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인천항의 北화물선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에 해안포 등을 발사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29일 북한 화물선 동남1호가 인천항에서 대북(對北) 지원물자를 싣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북한이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북 해상에 해안포 등을 발사해 긴장이 고조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29일 북한 화물선 동남1호가 인천항에서 대북(對北) 지원물자를 싣고 있다.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문제는 67개에 달하는 방공호 대부분이 1960∼70년대에 지어진 반지하 형태의 낡은 것이서 첨단화된 현대전에서 별다른 효용이 없다는 점이다.
김정섭(52) 백령면장이 회의에서 방공호가 대폭 손질돼야 한다고 강조했지만 당장 뾰족한 수가 없는 형편이다. 이것을 보강하려면 상당한 예산이 수반돼야 하기 때문이다.
사정이 이러니 주민들은 불안하기만 하다. 북한과의 국지전이 발생했을 경우 마땅히 대피할 곳이 없기 때문이다. 북한과 마주 보는 해안에 사는 주민 손모(58·진촌리)씨는 “주민들은 북한이 전쟁을 일으켰을 때 가장 먼저 백령도를 포로 때릴 것으로 여기는데 대피할 장소가 마땅치 않다는 것을 생각하면 끔찍하다.”고 말했다.
백령도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2010-01-30 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