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 내정자는 23일 “너무나 많은 고통을 주던 점수 위주의 대입 전형에서 탈피하고 학부모가 체감하도록 사교육 부담을 덜어 주는 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 내정자는 이날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그동안 고통스럽고 부정적으로 인식돼온 교육의 즐거움을 되찾는 긍정적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내정자는 교육의 변화 중 첫째는 점수라는 하나의 잣대에서 벗어나 창의성,인성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제의 정착과 수능 체제의 변화 등 대학입시를 바꾸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둘째는 학교가 스스로 창의적 교육내용을 정해 가르치도록 학교의 변화,교단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이며,셋째는 서민의 사교육 부담을 경감하는 데 집중해 학부모가 피부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이어 대학과 과학기술 정책이 미래 성장의 동력이라며 이공계를 기피하는 교육연구시스템을 바로 잡고 국가과학기술체제의 선진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현장의 학생,소외계층,젊은 연구자들과 소통하면서 교육이 계층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이 장관 내정자는 이날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그동안 고통스럽고 부정적으로 인식돼온 교육의 즐거움을 되찾는 긍정적 변화를 추구하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내정자는 교육의 변화 중 첫째는 점수라는 하나의 잣대에서 벗어나 창의성,인성을 평가하는 입학사정관제의 정착과 수능 체제의 변화 등 대학입시를 바꾸는 것에서 출발한다고 강조했다.
둘째는 학교가 스스로 창의적 교육내용을 정해 가르치도록 학교의 변화,교단의 변화를 추진하는 것이며,셋째는 서민의 사교육 부담을 경감하는 데 집중해 학부모가 피부로 느끼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이어 대학과 과학기술 정책이 미래 성장의 동력이라며 이공계를 기피하는 교육연구시스템을 바로 잡고 국가과학기술체제의 선진화에 주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내정자는 현장의 학생,소외계층,젊은 연구자들과 소통하면서 교육이 계층 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