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간접광고도… 종편·보도채널 신청자 반발
정부가 지상파방송에 다채널방송서비스(MMS)를 도입하는 방안을 내년부터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또 지상파방송의 중간광고 허용을 비롯해 먹는 샘물·의료기관 등 방송광고 금지품목 관련 규제 완화, 제작협찬·간접광고 허용 등 방송광고 규제 완화도 함께 논의하기로 했다. MMS의 도입 추진 방침이 전해지자 케이블방송과 종합편성 및 보도채널 사업자들은 “지상파방송에 채널이 급증하는 특혜를 주는 것”이라고 반발, 귀추가 주목된다.
MMS란 2012년 지상파의 디지털방송 전환 이후 데이터 압축기술을 통해 지상파 채널에 여러개의 디지털채널을 전송하는 서비스. 지상파 MMS가 허용되면 채널 1개당 4개까지 채널을 운용할 수 있어 사실상 지상파방송 채널이 크게 늘어나게 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17일 청와대에서 진행된 2011년 업무계획 보고를 통해 ▲스마트 시대 기반 조성 ▲방송통신시장 선진화 ▲이용자 친화적 환경 구현을 ‘2011년 방송통신 3대 핵심전략’으로 선정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미디어 생태계 핵심 요소인 방송통신 콘텐츠·광고시장 확대 및 경쟁력 강화, 방송의 디지털 전환을 중점 과제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관련해 방통위는 “내년에 지상파 MMS 허용 논의를 시작해 운영주체와 면허방식, 채널구성 등 정책 방안과 관련 법·제도 정비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방송 프로그램 중간에 광고를 하는 중간광고 도입을 위한 논의도 시작한다. 관련 부처와 협의를 거쳐 먹는 샘물·의료기관 등 현재 방송에서 광고를 금지하고 있는 품목에 대한 규제도 완화하기로 했다. 한편 케이블방송 등 유료방송과 종합편성 및 보도전문채널 신청자 등은 “MMS가 도입되면 방송광고 시장에서 지상파 쏠림 현상이 나타나 유료방송 관련 사업자들이 직접적인 타격을 받게 될 것”이라며 논의 철회를 요구하고 나섰다.
조태성·신진호기자 sayho@seoul.co.kr
2010-12-1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