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정, 학교폭력 신고전화 ‘117’로 통합키로

당정, 학교폭력 신고전화 ‘117’로 통합키로

입력 2012-01-11 00:00
업데이트 2012-01-11 03: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과 정부가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해 신고전화를 ‘117’로 통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임해규 당 정책위부의장은 10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당정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회의를 갖고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당정협의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되는 대책은 학교폭력 신고번호를 각 시ㆍ도경찰청이 운영하는 ‘117 학교 여성폭력 긴급지원센터’로 통합한다는 내용을 담을 것으로 전해졌다.

아울러 지역교육지원청의 ‘위(Wee) 센터’와 기초지방자치단체에 설치된 ‘지역사회청소년통합지원체계’(시스넷.CYSnet)를 ‘학교폭력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할 계획이다.

학교폭력 피해자가 117로 신고하면 전문가가 상황을 파악한 뒤 원스톱 지원센터로 지정된 위센터나 시스넷에 연락, 피해자와 접촉해 문제를 해결하고 상담과 치료를 제공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위센터나 시스넷 중 하나도 설치되지 않은 이른바 ‘사각지역’에 둘 중 하나는 반드시 설치하게 하는 방안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나라당은 이에 더해 위기학생 상담 프로그램인 ‘위(Wee) 클래스’를 전체 학교에 확대 설치하고 상담교사의 처우를 무기계약직으로 개선하는 등 방안도 정부측에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비대위 회의에서 “급한 문제 중 하나가 학교폭력, 왕따를 당할 때 어디 믿고 상담할 수 있는 곳이나 연락을 취할 수 있는 곳이 없다는 것”이라면서 “불이 났을 때 ‘119’하면 통하듯, 학생들한테 어느 한 곳만 쉽게 기억했다가 상담을 원하면 상담사가 알려주고 대화한 것을 부모님께도 연락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밝혔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