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다른 김정은식 현지지도

아버지와 다른 김정은식 현지지도

입력 2012-01-27 00:00
업데이트 2012-01-27 09: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스킨십 강화로 탈권위 연출…김일성 따라하기?

북한 최고지도자 특유의 통치방식인 현지지도가 ‘김정은 체제’를 맞아 변하고 있다.

김 부위원장이 지난 1일 ‘근위서울류경수 제105탱크사단’을 시작으로 공식활동을 시작한 지 한달 정도밖에 안됐지만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 때와 여러모로 다른 점이 눈에 띈다.

이달 들어 27일까지 현지지도 및 시찰 8차례 가운데 군부대 방문이 5차례나 되고, 나머지는 기계공장과 평양 건설장 등 경제현장 2곳과 만경대혁명학원 방문이었다.

현지지도 및 시찰에서는 수행 간부의 면면에 가장 관심이 쏠렸다.

김명국 군 총참모부 작전국장, 김원홍 총정치국 조직담당 부국장, 리두성 중장 등 3명이 5차례씩 수행, 군부 실세로서 확실히 이름을 알렸다.

특히 리 중장은 지난해 10월 김정일 위원장의 군 관련 활동을 2차례 수행한 것으로 알려진 점이 공개활동의 전부였던 새로운 인물이다.

김 부위원장이 후계자 시절 군 총정치국을 통해 군부를 장악하는 과정에서 리 중장이 측근으로 부상했을 개연성이 있다.

또 4차례 수행한 박재경 대장은 군대에서 김 부위원장의 모친인 고영희를 우상화하는 데 나섰던 전력이 있어 앞으로 중용될 공산이 크다.

박 대장은 작년 11월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 수행자 명단에 4년 만에 다시 이름을 올린 바 있다.

일각에서는 한국의 소장 계급에 해당하는 리두성 중장 등이 부상한 것을 감안하면 김 부위원장이 현지지도 수행자를 고를 때 원로그룹보다 젊은층을 선호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놓는다.

김 부위원장을 수행했다고 공개되는 고위간부가 매번 4∼5명에 불과해 부친 때보다 확 줄어든 것도 눈여겨볼 만한 점이다.

김 위원장이 현지지도에서 당·정·군의 측근을 10여 명부터 20명 넘게 대동했던 것과 대비된다.

김 부위원장이 실무형 스타일로 수행인원을 ‘소수정예’로 꾸린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지만 좀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 매체가 수행자 명단을 빼놓고 보도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 김일성 주석 사망한 이듬해인 1995년에도 김 위원장의 현지지도 때 수행 간부가 10명 미만으로 소개된 적이 적지 않았다.

김 부위원장이 현지지도에서 적극적인 스킨십에 나서는 것도 시선을 끈다.

김 부위원장이 격의 없이 군인들과 양쪽으로 팔짱을 끼거나 눈물을 흘리는 군인의 손을 꽉 잡는 장면이 수차례 목격됐다.

또 조선중앙TV가 지난 21일 방송한 제3870군부대 방문에서는 김 부위원장이 장병과 기념촬영을 할 때 사복 차림의 남녀가 30여 명 끼어 있는 모습이 확인됐다.

민간인들이 군인의 단체사진에 포함된 것은 김 위원장 시절에는 거의 볼 수 없었던 만큼 과거보다 개방적인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전문가들은 김 부위원장의 ‘인민 지향적’ 스킨십이 할아버지 김일성 주석과 닮았다고 보고 있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권위적인 김정일 위원장과 달리 김정은 부위원장이 병사들을 따뜻하게 챙기는 모습은 군대에서 호소력이 클 것 같다”며 “과거 농민과 함께 식사도 했던 김일성 주석의 리더십과 상당히 유사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