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재단은 23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이 대통령 기록물 차기 정부 인계 과정에서 민감한 문건의 내용과 함께 문건의 목록도 없애버릴 것을 지시했다는 한 언론 보도와 관련해 “전혀 사실이 아니며 회의 내용의 앞뒤 발언을 다 빼버리고 일부분만을 인용한 악의적 날조”라고 반박했다.
재단은 성명을 내고 “보도에 나온 2007년 5월 22일 수석ㆍ보좌관회의 참석자들 말에 따르면 노 대통령의 발언은 공개해야 할 주제 중 비밀기록이나 지정기록으로 분류해 공개하지 말아야 할 내용이 연계된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를 논의하던 중에 나온 발언”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기록관에는 당연히 원본 그대로 이관된다는 것을 전제로, 차기 정부에 공개기록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목록까지 공개해서는 안 되는 지정기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말이었다”고 강조했다.
‘기술상으로 가능하냐’고 물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시 청와대에서 쓰인 이지원 시스템에서는 각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연결돼 있어 인계되는 기록을 봤을 때 공개되지 않아야 할 지정기록이 연계돼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냐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재단은 “청와대 수석ㆍ보좌관회의 기록물은 법으로 보호되는 비공개 지정기록”이라며 “(이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는 공개돼서는 안 된다고 법으로 정해진 비공개 지정기록물을 어떻게 입수했는지 경위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2007년 5월 22일 수석비서관회의 대화록을 입수했다며 당시 노 전 대통령이 “(차기 정부에) 인계할 때 제목까지 없애버리고 넘겨줄 거냐, 그게 기술상 가능하냐는 문제도 있지요”라고 물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에 A 비서관이 “가능하다”고 답했고 노 전 대통령이 거듭 “가능하냐”고 묻자, A 비서관은 “그렇게 해야 됩니다. 목록을 없애 안 보이게 해야 됩니다”라고 답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재단은 성명을 내고 “보도에 나온 2007년 5월 22일 수석ㆍ보좌관회의 참석자들 말에 따르면 노 대통령의 발언은 공개해야 할 주제 중 비밀기록이나 지정기록으로 분류해 공개하지 말아야 할 내용이 연계된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를 논의하던 중에 나온 발언”이라고 밝혔다.
이어 “대통령기록관에는 당연히 원본 그대로 이관된다는 것을 전제로, 차기 정부에 공개기록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목록까지 공개해서는 안 되는 지정기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말이었다”고 강조했다.
‘기술상으로 가능하냐’고 물었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당시 청와대에서 쓰인 이지원 시스템에서는 각 주제와 관련된 내용이 연결돼 있어 인계되는 기록을 봤을 때 공개되지 않아야 할 지정기록이 연계돼 공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냐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재단은 “청와대 수석ㆍ보좌관회의 기록물은 법으로 보호되는 비공개 지정기록”이라며 “(이 내용을) 보도한 언론사는 공개돼서는 안 된다고 법으로 정해진 비공개 지정기록물을 어떻게 입수했는지 경위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앞서 조선일보는 이날 2007년 5월 22일 수석비서관회의 대화록을 입수했다며 당시 노 전 대통령이 “(차기 정부에) 인계할 때 제목까지 없애버리고 넘겨줄 거냐, 그게 기술상 가능하냐는 문제도 있지요”라고 물었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이에 A 비서관이 “가능하다”고 답했고 노 전 대통령이 거듭 “가능하냐”고 묻자, A 비서관은 “그렇게 해야 됩니다. 목록을 없애 안 보이게 해야 됩니다”라고 답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