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경북지사
여권이 절대적인 지지를 확보하고 있는 텃밭인 경상북도는 여야 대결보다 새누리당 내 인물 경쟁 구도에 시선이 쏠린다. 재선으로 평가가 좋은 현 김관용 지사의 3선 도전 여부와 세대 교체 바람이 가장 큰 변수가 될 전망이다.이런 상황에서 김 지사의 두터운 아성에 권오을 전 국회 사무총장이 대항마로 거론되고 있다. 차기 경북지사를 묻는 질문에 김 지사가 45.4%로 1위를 고수했고 권오을 전 사무총장 15.8%, 이철우 새누리당 의원 9.9%, 부동층 28.9%의 순으로 나타났다. 김 지사는 여성(50.1%)과 50대 연령층(49.5%), 화이트칼라(67.3%) 층에서 지지율이 높았고, 권 전 사무총장은 남성(16.8%), 40대(26.8%), 학생(29%) 층에서 상대적으로 호응을 얻고 있었다.
김 지사에 대한 도정 평가는 잘함이 75%(매우 잘함 21.7%, 잘함 53.3%)로 매우 후한 편이었다. 주로 여성(76%), 30대 연령층(81.5%), 농·임·축산·어업(93%) 계층에서 강세를 보였다.
차기 경북도지사 선거는 현직 프리미엄이 강한 김 지사의 행보와 새누리당의 공천 기준에 따라 판이 바뀔 것으로 보인다. 김 지사의 3선 도전이 확실시되면서 새누리당의 잠재 후보군들은 일단 차기 선거를 노리는 양상이다.
김 지사는 진행 중인 대형 사업 마무리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며 지역 소통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김 지사의 불출마나 공천 탈락 등 변수가 생기면 곧바로 대거 출마선언이 잇따를 것으로 보인다. 세대교체론이나 3선 단체장에 대한 피로감 등이 제기되면 공천경쟁이 곧바로 시작될 양상이다.
다만 유일하게 출마를 선언한 안동 지역 3선인 권 전 사무총장은 이미 지난해 9월부터 50대 기수론으로 바람몰이에 나서고 있다. 제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냈던 그는 “바닥 민심과 여론 주도층에서 변화에 대한 욕구가 강렬하다”면서 “젊은 경북을 행정 이외 분야까지 고른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겠다”고 벼르고 있다.
새누리당 경북도당위원장인 재선 이철우 의원은 정무부지사로 김 지사와 호흡을 맞췄던 개인적 배경으로 김 지사 출마 시 나서지 않는다는 입장을 굳혔다. 그러나 김 지사가 불출마할 경우 언제든지 출사표를 던지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야당과 무소속 후보군은 아직까진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았다. 민주당에선 오중기 경북위원장이 거론되고 있다. 정의당 경북도당도 경북도지사 후보를 내는 것을 목표로 인물 물색에 나섰다.
2010년 지방선거 때는 김 지사가 광역단체장 중 최고 득표율인 75.4%로 압승을 거뒀다. 현 민주당 대구시당위원장으로 민주당 비례대표 의원인 홍의락 의원은 11.8%로 선전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1-0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