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선 복원’ 콕 집어 언급한 김정은...미국에는 ‘쓴소리’

‘통신선 복원’ 콕 집어 언급한 김정은...미국에는 ‘쓴소리’

김헌주 기자
입력 2021-09-30 17:31
수정 2021-09-30 1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정은, 최고인민회의 둘째날 시정연설
기관지 노동신문에 공개...대내외 공언
바이든 정부 대북기조 관련 첫 언급도
‘강한 발언’ 이면엔 명분 달라는 압박
靑 “일련의 상황 종합적·면밀히 분석”
이미지 확대
시정연설하는 김정은
시정연설하는 김정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 2일 회의에서 10월 초부터 남북 통신연락선을 복원할 의사를 표명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2021.9.30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정부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첫 번째 징검다리로 꼽은 통신연락선 복원에 대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0월 초’라는 날짜까지 거론하며 화답했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구체적 사안을 콕 집어 언급한 것은 이례적이다. 김여정의 연속 담화로 운을 띄운 뒤 김 위원장이 직접 나선 모양새로 정세 변화를 주도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온다.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선 “교활하다”고 날을 세웠지만, 미측은 “적대적 의도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9일 최고인민회의 2일차 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10월 초 관계 악화로 단절시켰던 북남(남북)통신연락선을 다시 복원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고 북한 관영매체들이 30일 일제히 보도했다. 최고인민회의 첫날 회의에 불참한 김 위원장이 둘째날 ‘깜짝’ 등장해 경색된 남북관계 회복을 위한 통신선 복원 뜻을 대내외적으로 공언한 것이다. 지난 7월 27일 통신선이 13개월 만에 복원됐을 때는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조선중앙TV에 보도되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도 남북관계 회복 여부는 “남조선(남한) 당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며 남측에 공을 넘기거나, “종전선언 전에 불공정한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정책부터 철회해야 한다”며 조건을 걸었다. 지난 24~25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의 이틀 연속 담화와 같은 맥락이지만, 최고지도자의 ‘입’을 통해 강조됐다는 점에서 무게감이 다르다.
이미지 확대
지난 2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 2일 회의에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국무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2021.9.30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지난 29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열린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5차 회의 2일 회의에서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이 국무위원회 위원으로 보선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30일 보도했다. 2021.9.30 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김여정 부부장 담화와 북한의 미사일 발사, 김정은 위원장의 시정연설로 이어지는 일련의 상황을 종합적이고 면밀하게 분석 중”이라고 밝혔다. 대신 주무부처인 통일부를 통해 “정부는 김 위원장이 통신선을 10월 초부터 복원할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대비해 나가겠다”면서 “김 위원장의 공개입장 표명이라는 점에서 통신선 복원과 안정적인 운용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의 시정연설에 대한 ‘답신’이 될 문재인 대통령의 메시지는 실제 통신선이 복원되는 시점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김여정 담화가 대남 메시지에 치중된 반면, 김 위원장은 바이든 정부의 대북 기조에 대해서도 처음으로 언급하는 등 대남·대미 메시지를 함께 발신했다. “미국의 군사적 위협과 적대시 정책은 조금도 달라진 것이 없다. 표현 형태와 수법은 더욱 교활해지고 있다”, “미국이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주장하고 있지만 저들의 적대 행위를 가리기 위한 허울에 지나지 않는다”는 표현만 놓고 보면 미국과의 대화 의사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김 위원장의 ‘강한 발언’ 이면에는 북측이 대화에 나올만한 명분을 제시하라는 압박이 담긴 것으로 해석된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은 연초부터 한반도 정세를 바꿔보려는 계획이 있었던 것 같다”면서 “이번 유엔총회 연설도 예의주시한 것으로 보이고,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제안하자 이를 명분 삼아 드라이브를 거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
한미 북핵 수석대표, 자카르타 회동 후 기자회견
한미 북핵 수석대표, 자카르타 회동 후 기자회견 노규덕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왼쪽)과 성 김 미국 대북특별대표가 30일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페어몬트호텔에서 열린 한미 북핵 수석대표 협의 후 한국 특파원 대상 약식 기자회견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1.09.30 연합뉴스
미 국무부는 김 위원장 연설에 대한 언론 질의에 “미국은 북한에 적대적 의도를 품고 있지 않다. 전제조건 없이 만날 준비가 돼 있다”고 답했다. 남북 협력도 “강력히 지지한다”고 했다. 반응은 빨랐지만 내용 자체는 기존과 크게 다르지 않다. 앞서 북한이 적대시정책 폐지의 “첫걸음”으로 언급했던 ‘한미연합군사훈련 및 전략무기 전개’의 영구 중단과 같은 전제 조건 없이 실질적 대화에 응하라는 의미다.

이날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열린 한미 북핵수석대표 협의가 끝난 뒤 공동 기자회견에서 성 김 대북특별대표는 “북한의 최근 탄도미사일 발표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명했다”면서도 “북한이 우리의 접촉에 긍정적으로 반응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이 제안한 종전선언 구상에 대해선 “긴밀히 소통하기로 합의했다”고 했다.

한편 김 부부장이 최고인민회의에서 국무위원으로 선출된 것과 관련해 종전선언을 염두에 둔 조치라는 관측도 나온다. 홍 위원은 “종전선언을 추진할 경우 (북측에선) 대미·대남 분야를 담당하는 김 부부장이 주축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내에서는 김 위원장의 대미 비난보다 지난 28일 발사한 극초음속 미사일 ‘화성8형’에 더 신경쓰는 분위기다.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이 개발 경쟁을 벌이는 극초음속 미사일을 북한이 실전 배치한다면 역내 안보지형이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AFP통신은 미국, 영국, 프랑스의 요청에 따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30일(현지시간) 비공개 대응 회의를 연다고 전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