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이재명 두 아들 입시, 검증 필요”...與 “허위사실 유포 고발”

野 “이재명 두 아들 입시, 검증 필요”...與 “허위사실 유포 고발”

임효진 기자
입력 2021-12-29 15:46
수정 2021-12-29 15: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김진태
발언하는 김진태 국민의힘 김진태 ‘이재명 비리 국민검증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민검증특별위원회 긴급간담회에서 장영하 변호사 저서인 ‘굿바이 이재명’을 들고 발언하고 있다. 2021.12.28 국회사진기자단
국민의힘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두 아들 대학 입시에 대한 불공정 의혹을 제기하며 학교 측에 공개 질의서를 보냈다. 

29일 당 이재명비리국민검증특위(위원장 김진태)는 보도자료를 통해 “이 후보 장남은 2012년 ‘세계선도인재전형’이라는 매우 불투명한 전형을 통해 고려대 경영학과에 수시 합격했다”고 지적했다.

특위는 해당 전형이 조국 전 법무부 장관 딸 조민 씨가 고려대에 입학할 때 응시한 전형과 같은 전형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특위는 또 “이 후보 배우자 김혜경 씨 인터뷰에 따르면, 차남이 TV에서 (다문화 이슈를 다룬) 영화 ‘완득이’를 시청했는데, 그 과정에서 이 후보와 다문화 토론을 했고 아주 공교롭게 다음날 면접시험 주제가 다문화였다고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의 차남은 2013년 고려대 경제학과에 합격했다.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김진태
발언하는 김진태 국민의힘 김진태 ‘이재명 비리 국민검증특별위원회’ 위원장이 28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민검증특별위원회 긴급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28 국회사진기자단
특위는 “이 후보 두 아들의 입시가 매우 불투명하게 진행된 것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과연 공정한 경쟁을 통한 입시였는지 여부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학교 측에 이 후보 장남이 ‘세계선도인재전형’ 중 구체적으로 어떤 전형으로 합격했는지, 차남이 수시 특별전형 세부 유형 중 어떤 전형으로 합격했는지, 각각 심사 절차와 주체는 어땠는지 등을 질의했다.

특위는 “고려대는 국민이 제기하는 의구심에 대해 성실하게 소명함으로써 대학 입시의 불공정 의혹을 해소하는 적극적인 노력을 해야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권혁기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공보부단장. 2021.11.17 뉴스1
권혁기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공보부단장. 2021.11.17 뉴스1
이에 권혁기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대변인은 이같은 의혹 제기를 ‘가짜뉴스’로 규정하며 반박했다. 

권 대변인은 이 후보 장남의 입시에 대해 “2012년도 대입 당시 논술 및 학생부로 선발하는 ‘수시 일반전형’에 지원, 논술시험 등을 보고 합격했다”며 “이 전형에서 장남은 논술만이 아니라 수능시험 언어·수리(나)·외국어·사탐 등 과목에서 1등급을 받아 최저 학력기준 조건을 모두 충족했다”고 밝혔다.

이 후보 장남이 세계선도인재전형과 같은 특별전형이 아닌 일반전형으로 시험을 보고 합격했다고 반박한 것이다.

또 차남의 고대 입학에 대해서는 “당시 고려대의 ‘수시 국제전형’ 정경대학에 지원했으며, 2학년 때 정경대학 행정학과로 결정됐다”며 “고려대 경제학과에 진학했다는 김진태 위원장의 주장은 가짜뉴스”라고 반박했다.

이어 “특별전형 (심사) 항목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차남은 당시 수능에서 언어·외국어·사탐 영역 1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권 대변인은 “윤석열 선대위의 흑색선전이 극심해지고 있다”며 “아무리 선거 판세가 불리하더라도 기본적인 사실관계 확인도 없이 허위사실을 유포해 선거를 혼탁하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해당 허위사실을 유포한 관계자 모두를 내일 고발해 불법·네거티브 선거에 치중하는 윤 후보 선대위에 경종을 울리겠다”고 덧붙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