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에 목매는 교단의 풍토를 없애려고 교장자격증이 없어도 교장에 공모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됐는데, 교육부가 시행령에서 비자격증 교장 비율을 15% 이내로 제한해 버렸다. 결국 지난해 1학기 비자격증 교장은 2명으로 공모 교장 218명 중 0.9%에 그쳤다.”
이미지 확대
유은혜 새정치연 의원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유은혜 새정치연 의원
8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교육부 국정감사에서 유은혜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교육부가 임의로 만든 시행령 때문에 교장공모제가 겉도는 파행을 예리하게 지적했다. 이처럼 제도가 실제로 현장에서 제대로 정착되는지를 추적하는 내공은 19대 국회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교문위에 의정생활의 ‘승부’를 건 유 의원의 끈기에서 비롯됐다고 평가된다. 유 의원이 꿈꾸는 학교상은 지난해 말 제출한 ‘학교 자치회 활성 법안’에 잘 나타나 있다. 입시라는 ‘미래의 성공’에 매몰된 학교에 ‘현재의 행복’을 심겠다는 ‘카르페 디엠’식 교육 철학이 엿보인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10-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