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에서 발언하는 김병준
자유한국당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오른쪽)이 1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가운데는 나경원 신임 원내대표. 2018.12.13 연합뉴스
현재 당 내 여론은 현행 단일지도체제 보다는 집단지도체제가 적합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지는 분위기다. 전임 홍준표 지도부 당시 ‘독주’(獨走) 논란 등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다만 당권주자들은 현행제도인 단일지도체제를 비교적 선호하는 모습이다. 당 대표가 되면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당 내에서 이를 주도적으로 협의해 온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는 지난 19일 한국당 의원총회에서 이 두 안을 절충한 ‘혼합형지도체제’를 새롭게 제안했다. 정당개혁위가 제안한 방안은 전대룰은 대표와 최고위원을 통합해서 선거를 치르는 집단지도체제 방식으로 하지만, 대표의 결정권 등 지위를 인정해 대표가 지도부를 주도할 수 있도록 하는 혼합안이다.
한국당은 오는 26일 의원총회를 열고 이 안들을 중심으로 지도체제 합의에 나선다. 비대위와 원내지도부 모두 지도부 차원의 결정보다는 소속 의원들의 의견 수렴을 거친 후 다수 의견에 따라 결정을 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구성원들의 의견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할 경우 ‘현행제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제도의 문제 보다는 사람의 문제로, 현행 제도의 순기능을 살리는 것이 더 바람직한 방법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나경원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선출 전 차기 지도부를 ‘집단지도체제’로 변경해야 한다고 여러차례 주장해왔다.
한국당의 현 단일지도체제는 홍준표 전 대표가 선출된 2017년 7월 전당대회 전 개정된 것으로, 대표 1인에게 모든 권한을 주어 당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