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억류시 특전사 투입 등 전술토의
천안함 침몰 사건이 북한의 잠수정 등 비대칭전력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결론나면서 군도 대북 특수전 강화에 나섰다. 추가도발 대응 방지와 개성공단 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우리 국민을 인질로 잡는 상황에 대한 전략을 마련하기 위해서다.합동참모본부는 29일 국방부 본청에서 특수전사령관, 항공작전사령관 등 전군 작전지휘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전술토의를 개최하기로 했다.
합참 관계자는 28일 “특수전사령관과 항공작전사령관을 비롯해 각 군의 작전사령관이 참여하는 회의로 천안함 사건에 따른 여러 시나리오에 대한 작전계획을 수립하는 자리”라고 밝혔다.
군에 따르면 이번 회의는 북한의 추가 도발에 대비한 대응태세 확립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북한 선박의 북방한계선(NLL) 침범시 대응수준 ▲북한의 대북 심리전 확성기 조준사격시 대응전략 ▲북한 선박의 제주해협 우회 불응시 등 상황별 대응 방법이 구체적으로 논의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최근 북한이 폐쇄를 검토하겠다고 경고한 개성공단과 관련해 우리 측 인력이 억류됐을 경우에 대한 작전상황도 논의한다.
군 소식통에 따르면 소규모 인질을 억류할 경우 주한미군의 아파치헬기 등을 이용해 특수부대 요원들을 은밀히 투입하는 방안이 고려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대규모 인력이 억류된 경우엔 주변지역 폭격을 가한 뒤 특전사 요원들을 투입해 구출하는 방안도 시나리오 중 하나로 검토되고 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5-2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