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사격 훈련에 北 보복 경고… 긴장의 연평도
우리 군의 연평도 해상사격 훈련에 이어 북한의 포격이 예고된 17일, 눈으로 덮인 연평도는 전쟁 전야처럼 긴장감이 극에 달했다. 섬의 밤거리에는 완전 무장한 해병대원과 경찰관들만 순찰을 돌 뿐 주민을 찾아보긴 어려웠다. 집 안에 있는 주민들도 초조한 기색이 역력했다.연평도 주민 이기옥(50·여)씨는 손전등과 초를 선반에서 꺼내 챙겼다. 옷장에서 두꺼운 겨울 옷가지도 여러 벌 챙겨 현관에 뒀다. 집 근처 대피소에 이불도 놓아두고 왔다. 여든살 넘은 시부모와 함께 대피소에서 생활하기 위해서다. 긴장감일까 불안감일까 짐을 챙기는 그의 손은 파르르 떨렸다. 이씨는 “원래 빈 소리(허풍)를 잘하는 놈들(북한군)이지만 지난번에 진짜 쐈으니 대비를 안 할 수는 없다.”며 “그래도 우리 군이 물러서면 안 된다. 해볼 테면 해보자는 각오로 훈련을 해야한다.”고 울컥 쏟아냈다. 또 “몇 시간 대피소에 들어가 있으면 된다. 다시는 공격 못하도록 확실히 훈련하고 만약 공격하면 철저히 응징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공무원들은 연평도 곳곳에 설치된 확성기의 성능을 점검하는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손길이 바빴다. 19개 대피소 가운데 마을 주변에 있는 12개 대피소에 긴급상황 발생시 공무원 두 명씩을 배치하는 계획도 세웠다. 전날 대피소를 긴급 점검해 비상식량과 물·담요·가스버너와 냄비 등 물품을 채워넣었다. 오후 1시쯤 인천에서 연평도로 들어온 주민 조모(47)씨는 부두에 내리자마자 부리나케 집으로 달려갔다. 지난달 23일 북한의 무차별 포격 이후 연평도를 탈출한 지 약 20일 만이었다. 그는 “내일 우리 군의 사격훈련이 있다고 해서 그 전에 집을 살피러 들어왔다.”면서도 “내일 당장 나갈 거다. 북이 또다시 공격해 잘못되면 어떡하느냐.”고 초조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인천 등지에서 피란 생활을 하는 주민 29명이 이날 첫 배를 타고 연평도를 찾았다. 북한의 추가 포격에 대비해 잠시 집에 들른 주민들은 짐을 간단히 챙긴 채 뭍으로 나갈 채비를 서둘렀다. 이틀째 영하 10도 이하의 한파가 몰아치면서 상당수 집의 상수도 배관이 파열됐고, 부서진 가옥들의 복구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주민들은 애간장을 태웠다. 유관기관들은 임시주거시설 마련에 한창이다. 소방방재청과 전국구호협회가 연평초등학교 운동장에 지은 임시주거시설 15동의 전기·상하수도 등 기반시설 공사가 마무리됐다. 김정길 현장 소장은 “늦어도 19일이면 곧바로 주거할 수 있다.”면서도 “주민들이 빨리 돌아와 일상을 되찾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의 찜질방에서 숙식하는 주민들은 길어진 피란 생활에 심신이 지쳐 있었다. 황재준(58)씨도 “포격훈련을 한다고 해도 겁날 것이 없다. 죽었다 살아난 사람인데 무엇이 두렵겠나.”라고 말했다.
인천 이민영·연평도 김양진·최두희기자 ky0295@seoul.co.kr
2010-12-18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