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결의안 초안 “모든 당사국 자제 촉구”

러 결의안 초안 “모든 당사국 자제 촉구”

입력 2010-12-20 00:00
수정 2010-12-20 0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러시아의 요구로 19일(현지시간)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긴급회의에서는 연평도 포격 도발 이후 고조되고 있는 한반도 긴장 상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긴급회의에서는 긴장 고조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상황이 더욱 심각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어떤 조치들을 취할지 등을 놓고 이사국들 간에 논란이 일었다.

뉴욕타임스(NYT) 이날 자 인터넷판 보도에 따르면 긴급회의를 소집한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가 작성한 결의안 초안에는 “모든 당사국들이 최대한 자제하고 한반도와 이 지역의 긴장을 더 이상 고조시키는 어떠한 조치도 취하지 않을 것을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한반도에 특사파견도 요청

또 결의안 초안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에게 한반도에 특사 파견을 요청하는 내용도 담고 있다고 NYT는 보도했다. 러시아가 중국과의 협의를 거쳐 준비한 것으로 보이는 결의안 초안은 남북한 어느 한쪽에 긴장 고조의 책임을 지우기보다는 모든 당사국들에 최대한 자제를 요구하고 있어 한국과 한국을 지지하는 미국 등이 수용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적잖다.

북한의 연평도 도발과 새 우라늄 농축 시설 공개 등 북한의 책임이 명백한 경우에도 중국 등의 반대로 유엔 차원의 대응이 좀처럼 진전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긴급회의에서 합의된 결과가 도출될지는 불투명하다는 게 유엔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러, 발언권 회복 의도도

러시아가 연평도 사격훈련과 관련해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 소집을 요구한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한국의 연평도 훈련 계획을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번 훈련이 자칫 북한의 다른 도발과 이에 대한 한국의 맞대응으로 이어지면서 한반도 상황이 걷잡을 수 없는 대결 국면으로 치달을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다 러시아 정부가 공식성명 등을 통해 훈련 계획 취소를 요구하며 대화로 문제를 풀어 나갈 것을 지속적으로 호소했지만 한국이 이를 외면한 데 대한 불만의 뜻도 담겨 있다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그동안 미국과 중국 등에 밀려 약화됐던 한반도 문제와 관련된 발언권을 회복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평도 훈련과 관련해 러시아가 안보리 긴급 회의 소집을 요구하면서 유엔에서 한국과 북한의 발걸음은 빨라졌다. 안보리 비회원국인 한국은 미국과 영국, 프랑스, 일본 등과 긴밀한 공조작전을 펴고 있다. 북한도 중국과 러시아 등과 사전 접촉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을 포함한 서방국들은 북한의 연평도 도발과 우라늄 농축 등이 한반도 긴장을 높이고 있다는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중국과 러시아는 연평도 사격훈련이 한반도 긴장을 조장하고 있다며 북한의 편을 들어주는 주장을 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2-20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