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원내대표 회동서 조율 불발
野 3당 “예산안 처리·선거제 개편 연계”합의 실패
문희상 국회의장과 여야 3당 원내대표가 3일 국회 의장실에서 내년도 정부 예산안의 본회의 상정 여부를 논의했지만 합의에 실패한 뒤 심각한 표정으로 의장실을 나서고 있다. 오른쪽부터 자유한국당 김성태·더불어민주당 홍영표·바른미래당 김관영 원내대표.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이에 문 의장은 “법정시한을 넘기고도 예산안 처리 일정에 합의하지 못한 상황에서 자동부의된 정부 예산안에 대한 제안 설명을 듣는 본회의 개의는 의장으로서 최소한의 의무”라며 오후 5시 본회의를 열어 정부 원안을 상정했다. 그러나 한국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이 본회의 참석을 거부해 정부 예산안 제안 설명은 ‘반쪽’으로 치러졌다.
국회는 지난해도 법정시한인 12월 2일 정부 원안을 상정해 두고 12월 6일 여야 합의로 마련한 수정안을 처리했다. 하지만 올해는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이 선거제도 개혁 없이 예산안만 처리할 수 없다고 연계전략을 쓰면서 예산안 처리 일정이 더 불투명해졌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장병완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는 별도 회동 후 “야3당이 앞으로 남은 기간 공조 체제를 더욱더 강화해 민생을 위한 예산, 또 민생을 위한 선거제 개편을 반드시 이뤄내도록 호흡을 같이하겠다”고 했다. 이들은 4일 국회 로텐더홀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는 농성을 벌일 예정이다.
문 의장과 여야 5당 대표의 초월회 오찬에서는 선거제도 개혁을 두고 큰소리가 나왔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30년간 정치를 했는데 선거제를 연계시켜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않는 건 처음 봤다”며 “이럴 것 같으면 선거구제 논의는 할 필요도 없다”고 ‘버럭’ 언성을 높였고, 야3당은 즉각 반발했다.
손지은 기자 sson@seoul.co.kr
2018-12-0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