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논의로 비쳐 혼선” 대통령실 사과
장제원 “폐지 근거 없어…尹, 그럴 분 아냐”
윤석열 대통령이 31일 오전 부산항 국제여객터미널 크루즈 부두에서 열린 제27회 바다의 날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22.5.31 연합뉴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특별감찰관 지명은) 임의 규정이 아니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특별감찰관제가 아니라 다른 제도를 만들려면 당연히 입법부와 협의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앞서 대통령실이 전날 브리핑에서 “이전 정관과 여건이 달라졌다”며 “특별감찰관제를 포함해 권력형 비리를 발본색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상 중”이라고 언급한 것과는 뉘앙스가 달라진 것이다.
장제원 대통령 당선인 비서실장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제20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을 나서며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2.5.5 인수위사진기자단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어제 답변 과정에서 마치 특별감찰관제 폐지를 전제로 이 논의를 진행하는 것처럼 비쳐 혼선을 드렸다”며 사과했다.
이어 “더 나은 제도가 있는지 구상하는 것은 늘 행정부나 대통령실 몫”이라며 “입법부인 국회 입장에서는 제도와 절차대로 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윤핵관들이 대통령 의중을 대신 전달해 비선 논란이 있다’는 취지의 기자 질문에는 “여당 의원이 비밀스러운 선은 아니다”고 답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특별감찰관 제도를 회의적으로 본다는 말이 있다’는 질문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라기보다는 달라진 제도 속에서 이것이 가장 효율적인 제도인가에 대한 고민이 있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민의힘 권성동(오른쪽) 원내대표와 김은혜 경기도지사 후보가 31일 오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야탑역 앞에서 열린 ‘경기도 총집결 필승 유세’에서 대화하고 있다. 2022.5.31 연합뉴스
권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문재인 정부는 법에 의해 설치되도록 돼 있는 특별감찰관을 5년 동안 임명하지 않았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법에 정해진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것”이라며 “그에 대해 국민의힘은 많은 비판을 했고, 그래서 이번에 특별감찰관제 법이 폐지되지 않고 존속됐으니 지방선거 이후 민주당과 협의해 특감관 후보 3명을 추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