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대한민국은 ‘E.N.D 이니셔티브’로 한반도의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대한민국 정부는 상대의 체제를 존중하고 어떠한 형태의 흡수통일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며, 일체의 적대 행위를 할 뜻이 없음을 다시 한번 분명히
5분 이상
‹
›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23일(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과 면담하며 한국의 대북 정책에 대해 “현명한 접근”이라고 평가했다.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과 구테흐스 사무총장의 면담 후 보도자료를 내고 “유엔이 한국 정부와 연대와 협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구테흐스 사무총장은 한국 정부의 대북 정책을 평가하며 “유엔도 적극 지원, 지지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이날 유엔 총회 연설에서 ‘E.N.D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교류(Exchange), 관계 정상화(Normal…
5분 이상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이 24일 별세했다. 75세.
김대중평화센터는 이날 “평생을 아버지의 정치적 동반자로 헌신해 온 김 이사장이 숙환으로 별세했다”고 밝혔다.
고인은 아버지인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동반자로 살아왔다.
고인은 1976년 김 전 대통령이 3·1 민주구국선언 사건으로 투옥되자 재야인사들과 함께 구명 운동을 펼쳤다.
김 전 대통령의 미국 망명 시절에는 동행해 미주인권문제연구소 이사로 활동하며 해외에 한국 민주화 운동 지지를 끌어내는 공을 세웠다.
고인은 1997년 대선에서는 김 전 …
2분 분량
불응 땐 법적 조치·탄핵까지 거론“지도부, 청문회 사전 보고 못 받아”국힘 “가짜뉴스로 삼권분립 훼손”與 강행 법안에 필리버스터 대응양측 원내지도부 회동… 합의 실패‘한덕수 겨냥’ 증언·감정법 소위 통과
오는 30일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가 예정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은 ‘불출석 시 고발·탄핵’을 언급하며 조 대법원장을 압박했다. 민주당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들이 앞장서 고강도 몰아치기 공세에 나서자 국민의힘은 삼권분립을 침해하는 결정이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법사위 소속 이성윤 민주당 의원은 23일 SBS 라디오에 출연해 조 대법…
4분 분량
투데이뉴스
‹
›
-
열린세상
민주주의에 대한 86세대의 착각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서울광장우리가 알던 그 미국이 아닌데, 우리는
박성원 논설위원세종로의 아침투명한 집값을 위해
김기중 산업부 차장열린세상민생범죄수사청을 설치하라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김동률의 정원일기구월에는 모두 말이 줄어들게 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
문소영 칼럼
‘똘똘한 한 채’ 정책 전환해야
문소영 대기자씨줄날줄타이레놀 유해 논란
홍희경 논설위원길섶에서나물 반찬 인심
전경하 논설위원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우리 땅에 콩의 기원이 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양창섭의 클래식 한마디정치 앞에 선 음악가들
양창섭 음악칼럼니스트 -
열린세상
민주주의에 대한 86세대의 착각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서울광장우리가 알던 그 미국이 아닌데, 우리는
박성원 논설위원세종로의 아침투명한 집값을 위해
김기중 산업부 차장열린세상민생범죄수사청을 설치하라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김동률의 정원일기구월에는 모두 말이 줄어들게 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
문소영 칼럼
‘똘똘한 한 채’ 정책 전환해야
문소영 대기자씨줄날줄타이레놀 유해 논란
홍희경 논설위원길섶에서나물 반찬 인심
전경하 논설위원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우리 땅에 콩의 기원이 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양창섭의 클래식 한마디정치 앞에 선 음악가들
양창섭 음악칼럼니스트 -
열린세상
민주주의에 대한 86세대의 착각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서울광장우리가 알던 그 미국이 아닌데, 우리는
박성원 논설위원세종로의 아침투명한 집값을 위해
김기중 산업부 차장열린세상민생범죄수사청을 설치하라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김동률의 정원일기구월에는 모두 말이 줄어들게 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
문소영 칼럼
‘똘똘한 한 채’ 정책 전환해야
문소영 대기자씨줄날줄타이레놀 유해 논란
홍희경 논설위원길섶에서나물 반찬 인심
전경하 논설위원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우리 땅에 콩의 기원이 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양창섭의 클래식 한마디정치 앞에 선 음악가들
양창섭 음악칼럼니스트 -
열린세상
민주주의에 대한 86세대의 착각
주대환 민주화운동동지회 의장서울광장우리가 알던 그 미국이 아닌데, 우리는
박성원 논설위원세종로의 아침투명한 집값을 위해
김기중 산업부 차장열린세상민생범죄수사청을 설치하라
이근면 전 인사혁신처장김동률의 정원일기구월에는 모두 말이 줄어들게 된다
김동률 서강대 교수 -
문소영 칼럼
‘똘똘한 한 채’ 정책 전환해야
문소영 대기자씨줄날줄타이레놀 유해 논란
홍희경 논설위원길섶에서나물 반찬 인심
전경하 논설위원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우리 땅에 콩의 기원이 있다
이소영 식물세밀화가양창섭의 클래식 한마디정치 앞에 선 음악가들
양창섭 음악칼럼니스트
2
/
5
투표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인터랙티브
1
/
9
스포트라이트 뉴스
-
에듀톡(42)최신 기사 2025.09.06.
“안식년? 자비로 가세요” 대학 재정난에 쪼그라드는 연구년
-
여의도 블라인드(44)최신 기사 2025.02.24.
너도나도 ‘카톡 공보방’ 여는 與… 선거용 길닦기냐, 각자도생이냐
-
영화잡설(9)최신 기사 2025.08.26.
씨네큐브 25주년 기념작 ‘극장의 시간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
-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 캔슬링(47)최신 기사 2025.08.21.
“한계를 넘으려는 인간… 그 고군분투에서 멋진 게 나온다”
-
외안대전(47)최신 기사 2025.09.20.
정동영 “남북을 ‘평화적 두 국가’로”…다시 띄워진 ‘두 국가론’ 공방
-
용산 NOW(18)최신 기사 2025.03.01.
업무 정상화 시동 건 용산…정책 홍보도 개시
-
우리동네 문화발전소(28)최신 기사 2025.09.19.
무대 넓히고, 객석 재배치… 관객·문화 품는 ‘우리 동네 공연장’
-
월드 핫피플(101)최신 기사 2025.09.23.
김정은 쫓던 탐사 보도 기자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
월요인터뷰(63)최신 기사 2025.09.21.
“식품사막 서울, 고당비 위험 … ‘스텔스 건강도시’로 만들 것”
-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332)최신 기사 2025.09.04.
장거리 여행길 멀미 걱정될 땐 음악 감상이 약!
-
유통 패러다임 바꾼 가락시장 40년(9)최신 기사 2025.06.23.
‘온라인·디지털’ 도매시장 변신 중… 가락시장 ‘톱’ 물류센터로
-
유튜브 20주년(6)최신 기사 2025.04.23.
‘도파민 저수지’에 가짜뉴스 범람… 저작권 눈감은 조회수 장사
-
이재명의 사람들(20)최신 기사 2025.07.02.
탁월한 기획·소통으로 계파 상관없이 중용… 李대통령 “제 깐부입니다”
-
인구포럼 인터뷰(2)최신 기사 2025.06.16.
“사회 전체가 ‘육아 비용’ 부담… 공적 지원이 당연한 사회 돼야”
-
재계 인맥 대탐구(139)최신 기사 2025.09.23.
국민 조미료 미원, 김치 대명사 종가… 이젠 바이오 키우는 대상
-
전국부 사건창고(103)최신 기사 2025.09.23.
“내연녀 붙잡으려 처자식 넷 몰살”…방화 후 그는 PC방에서 태연히...
-
조현석의 투어노트(16)최신 기사 2024.11.08.
걷다 보니 가을로 물들었고 멈춰서 보니 왕의 곁이었다
-
주간 여의도 WHO(41)최신 기사 2025.09.19.
“법 하나 통과시키려면 이렇게 해야”…문신사법 제정 앞장선 박주민
-
중독의 끝에서, 다시 삶을 잇다(3)최신 기사 2025.06.27.
전문가 “마약 중독도 질병… 회복 중심 제도·인프라 확충이 열쇠”
-
청년 블루칼라 리포트(10)최신 기사 2025.07.22.
‘미래 블루칼라’ 위한 국비 직업훈련… 청년 노후 준비 위한 내일채움공제
-
청년, 지역의 내일을 만들다(27)최신 기사 2025.09.24.
“생애주기 맞춤 지원… 청년 지방정착 해법”
-
최광숙의 Inside(56)최신 기사 2025.09.16.
“제재 만능주의로 산재 못 줄여… 엄벌보다 예방 체계 정비해야”
-
취중생(112)최신 기사 2025.09.20.
“마음의 병, 서로 치유”…정신건강 지키는 플랫폼 개발한 서울대생
-
편지에 담긴 좌절과 희망을 다시 읽다(3)최신 기사 2025.08.11.
“아들아, 조선을 위한 투사가 돼라”… 피 끓어오르게 한 윤봉길의 편지
-
포토 다큐(177)최신 기사 2025.04.09.
자연을 달린다
-
포토多이슈(276)최신 기사 2025.08.23.
서울 한강 가른 1.8㎞ 도전 ‘2025 한강크로스스위밍챌린지’
-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2)최신 기사 2025.06.16.
“한일, 정치 갈등 넘어 협력 제도화… 미래 지탱할 틀 재정립하자”
-
2025 서울리더스금융포럼(8)최신 기사 2025.06.19.
“가상자산, 선택 아닌 필수… 제도화는 ‘언제’ 아닌 ‘어떻게’의 문제”
-
2030 새 대통령에게 바란다(10)최신 기사 2025.06.25.
“지나친 학습, 아동학대 수준… 초등 의대반·유아 사교육 규제 절실”
-
87년 체제 다 뜯어고치자(36)최신 기사 2025.08.21.
맞아도 쉬쉬하는 체육계 폭력… “성적 지상주의 뿌리 뽑아야”
-
K 스마트팜, FTA 파고를 넘다(5)최신 기사 2025.08.14.
스마트팜 기술 표준화해야 농업이 산다
-
K리그 미리보기(35)최신 기사 2025.09.20.
전북현대 우승 초읽기가 시작됐다
-
강동삼의 벅차오름(50)최신 기사 2025.02.01.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 처럼… 나를 잃고 나는 걸었네
-
거버넌스 바꿔야 기업·주주가 산다(5)최신 기사 2025.07.04.
“집중투표제 강화… 모호한 주주 충실 의무 보완해야”
-
공존: 그러데이션 한국(6)최신 기사 2025.05.08.
“이주민 인력 정책 ‘노동허가제’로 바꾸고, 비자 완화해 정착 유도”
-
글로벌 인사이트(270)최신 기사 2025.09.24.
김정은 흔적 쫓던 기자서 AI 전문가로… “기술 마법 없지만 언론 환경은 혁명 중”
-
넷만세(88)최신 기사 2025.09.21.
하다하다 속옷 바람 여배우까지… 연예인 ‘공항 패션’, 왜 민폐인가
-
뉴 코인 시대(14)최신 기사 2025.06.12.
원화 스테이블코인 출시 땐 코인 담보대출도 가능할 듯
-
달콤한 사이언스(369)최신 기사 2025.09.24.
북미에는 티라노, 남미에는 티라노보다 무서운 ‘이것’ 있었다
-
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8)최신 기사 2025.02.05.
부족한 예산·옥죄는 규제… 한국, 공허한 ‘AI 3대 강국’의 꿈
-
로:맨스(69)최신 기사 2025.09.20.
통일교 수사 고삐죄는 특검…한학자→김건희 연결고리 찾는다
-
마음의 쉼자리 - 종교와 공간(24)최신 기사 2025.08.29.
아이돌 닮은 불상, 갤러리 품은 법당… 이토록 힙한 불교
-
문소영의 브라운백 미팅(8)최신 기사 2025.09.09.
“세계질서 재편기, 韓엔 기회… AI 혁신경제·재정 개혁·평화… 李정부 담대하게 미래 걷자
-
문화적 어린이(6)최신 기사 2025.01.04.
“처음이니까 괜찮아”, 부모도 아이도 ‘슬기로운 1학년’
-
박상준의 여행 서간(12)최신 기사 2025.08.29.
여름 끝자락… 벗에게 보내는 편지
-
비하人드 AI(17)최신 기사 2025.03.31.
“10분 내 대답 안하면 업무태만”…콘텐츠 모더레이터 노동 현실은
-
사라진 인구, 다시 채우는 미래(37)최신 기사 2025.09.24.
“정부 균형발전 정책, 지역 인재 유입 전략으로 진일보해야”
-
사법창고(8)최신 기사 2024.10.19.
지속·반복된 SNS ‘팔로우 신청’, 스토킹 범죄일까
-
사이언스 브런치(179)최신 기사 2025.09.19.
인공지능이 역사 왜곡에 앞장설 수 있다고?
-
생생우동(48)최신 기사 2025.08.29.
가을, 한강은…낮엔 역사탐방, 밤엔 야경투어
-
서울펀 동네힙(32)최신 기사 2025.03.28.
깨어나라, 나의 라이딩 본능… 달려 보자, 자전거 성지 ‘천호’
-
세책길(24)최신 기사 2025.09.19.
김일성 개인숭배가 뉴노멀이 된 평양의 결정적 하루
-
숲은 희망이다(4)최신 기사 2025.05.07.
산림의 ‘두 얼굴’… 든든한 탄소 흡수원, 재난 땐 탄소 배출원 ‘돌변’
-
에너지 패권 전쟁, 기로에 선 한국(17)최신 기사 2025.08.05.
“한국, 재생에너지 시장 주목받을 기회…정치적 의지·법적 기반 필요”
-
에듀톡(42)최신 기사 2025.09.06.
“안식년? 자비로 가세요” 대학 재정난에 쪼그라드는 연구년
-
여의도 블라인드(44)최신 기사 2025.02.24.
너도나도 ‘카톡 공보방’ 여는 與… 선거용 길닦기냐, 각자도생이냐
-
영화잡설(9)최신 기사 2025.08.26.
씨네큐브 25주년 기념작 ‘극장의 시간들’,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월드 프리미어
-
오경진 기자의 노이즈 캔슬링(47)최신 기사 2025.08.21.
“한계를 넘으려는 인간… 그 고군분투에서 멋진 게 나온다”
-
외안대전(47)최신 기사 2025.09.20.
정동영 “남북을 ‘평화적 두 국가’로”…다시 띄워진 ‘두 국가론’ 공방
-
용산 NOW(18)최신 기사 2025.03.01.
업무 정상화 시동 건 용산…정책 홍보도 개시
-
우리동네 문화발전소(28)최신 기사 2025.09.19.
무대 넓히고, 객석 재배치… 관객·문화 품는 ‘우리 동네 공연장’
-
월드 핫피플(101)최신 기사 2025.09.23.
김정은 쫓던 탐사 보도 기자에서 인공지능 전문가로
-
월요인터뷰(63)최신 기사 2025.09.21.
“식품사막 서울, 고당비 위험 … ‘스텔스 건강도시’로 만들 것”
-
유용하 기자의 사이언스 톡(332)최신 기사 2025.09.04.
장거리 여행길 멀미 걱정될 땐 음악 감상이 약!
-
유통 패러다임 바꾼 가락시장 40년(9)최신 기사 2025.06.23.
‘온라인·디지털’ 도매시장 변신 중… 가락시장 ‘톱’ 물류센터로
-
유튜브 20주년(6)최신 기사 2025.04.23.
‘도파민 저수지’에 가짜뉴스 범람… 저작권 눈감은 조회수 장사
-
이재명의 사람들(20)최신 기사 2025.07.02.
탁월한 기획·소통으로 계파 상관없이 중용… 李대통령 “제 깐부입니다”
-
인구포럼 인터뷰(2)최신 기사 2025.06.16.
“사회 전체가 ‘육아 비용’ 부담… 공적 지원이 당연한 사회 돼야”
-
재계 인맥 대탐구(139)최신 기사 2025.09.23.
국민 조미료 미원, 김치 대명사 종가… 이젠 바이오 키우는 대상
-
전국부 사건창고(103)최신 기사 2025.09.23.
“내연녀 붙잡으려 처자식 넷 몰살”…방화 후 그는 PC방에서 태연히...
-
조현석의 투어노트(16)최신 기사 2024.11.08.
걷다 보니 가을로 물들었고 멈춰서 보니 왕의 곁이었다
-
주간 여의도 WHO(41)최신 기사 2025.09.19.
“법 하나 통과시키려면 이렇게 해야”…문신사법 제정 앞장선 박주민
-
중독의 끝에서, 다시 삶을 잇다(3)최신 기사 2025.06.27.
전문가 “마약 중독도 질병… 회복 중심 제도·인프라 확충이 열쇠”
-
청년 블루칼라 리포트(10)최신 기사 2025.07.22.
‘미래 블루칼라’ 위한 국비 직업훈련… 청년 노후 준비 위한 내일채움공제
-
청년, 지역의 내일을 만들다(27)최신 기사 2025.09.24.
“생애주기 맞춤 지원… 청년 지방정착 해법”
-
최광숙의 Inside(56)최신 기사 2025.09.16.
“제재 만능주의로 산재 못 줄여… 엄벌보다 예방 체계 정비해야”
-
취중생(112)최신 기사 2025.09.20.
“마음의 병, 서로 치유”…정신건강 지키는 플랫폼 개발한 서울대생
-
편지에 담긴 좌절과 희망을 다시 읽다(3)최신 기사 2025.08.11.
“아들아, 조선을 위한 투사가 돼라”… 피 끓어오르게 한 윤봉길의 편지
-
포토 다큐(177)최신 기사 2025.04.09.
자연을 달린다
-
포토多이슈(276)최신 기사 2025.08.23.
서울 한강 가른 1.8㎞ 도전 ‘2025 한강크로스스위밍챌린지’
-
한일 국교정상화 60주년(2)최신 기사 2025.06.16.
“한일, 정치 갈등 넘어 협력 제도화… 미래 지탱할 틀 재정립하자”
-
2025 서울리더스금융포럼(8)최신 기사 2025.06.19.
“가상자산, 선택 아닌 필수… 제도화는 ‘언제’ 아닌 ‘어떻게’의 문제”
-
2030 새 대통령에게 바란다(10)최신 기사 2025.06.25.
“지나친 학습, 아동학대 수준… 초등 의대반·유아 사교육 규제 절실”
-
87년 체제 다 뜯어고치자(36)최신 기사 2025.08.21.
맞아도 쉬쉬하는 체육계 폭력… “성적 지상주의 뿌리 뽑아야”
-
K 스마트팜, FTA 파고를 넘다(5)최신 기사 2025.08.14.
스마트팜 기술 표준화해야 농업이 산다
-
K리그 미리보기(35)최신 기사 2025.09.20.
전북현대 우승 초읽기가 시작됐다
-
강동삼의 벅차오름(50)최신 기사 2025.02.01.
사랑하라, 한번도 상처받지 않은 것 처럼… 나를 잃고 나는 걸었네
-
거버넌스 바꿔야 기업·주주가 산다(5)최신 기사 2025.07.04.
“집중투표제 강화… 모호한 주주 충실 의무 보완해야”
-
공존: 그러데이션 한국(6)최신 기사 2025.05.08.
“이주민 인력 정책 ‘노동허가제’로 바꾸고, 비자 완화해 정착 유도”
-
글로벌 인사이트(270)최신 기사 2025.09.24.
김정은 흔적 쫓던 기자서 AI 전문가로… “기술 마법 없지만 언론 환경은 혁명 중”
-
넷만세(88)최신 기사 2025.09.21.
하다하다 속옷 바람 여배우까지… 연예인 ‘공항 패션’, 왜 민폐인가
-
뉴 코인 시대(14)최신 기사 2025.06.12.
원화 스테이블코인 출시 땐 코인 담보대출도 가능할 듯
-
달콤한 사이언스(369)최신 기사 2025.09.24.
북미에는 티라노, 남미에는 티라노보다 무서운 ‘이것’ 있었다
-
딥시크 충격 AI전쟁 어디로 가나(8)최신 기사 2025.02.05.
부족한 예산·옥죄는 규제… 한국, 공허한 ‘AI 3대 강국’의 꿈
-
로:맨스(69)최신 기사 2025.09.20.
통일교 수사 고삐죄는 특검…한학자→김건희 연결고리 찾는다
-
마음의 쉼자리 - 종교와 공간(24)최신 기사 2025.08.29.
아이돌 닮은 불상, 갤러리 품은 법당… 이토록 힙한 불교
-
문소영의 브라운백 미팅(8)최신 기사 2025.09.09.
“세계질서 재편기, 韓엔 기회… AI 혁신경제·재정 개혁·평화… 李정부 담대하게 미래 걷자
-
문화적 어린이(6)최신 기사 2025.01.04.
“처음이니까 괜찮아”, 부모도 아이도 ‘슬기로운 1학년’
-
박상준의 여행 서간(12)최신 기사 2025.08.29.
여름 끝자락… 벗에게 보내는 편지
-
비하人드 AI(17)최신 기사 2025.03.31.
“10분 내 대답 안하면 업무태만”…콘텐츠 모더레이터 노동 현실은
-
사라진 인구, 다시 채우는 미래(37)최신 기사 2025.09.24.
“정부 균형발전 정책, 지역 인재 유입 전략으로 진일보해야”
-
사법창고(8)최신 기사 2024.10.19.
지속·반복된 SNS ‘팔로우 신청’, 스토킹 범죄일까
-
사이언스 브런치(179)최신 기사 2025.09.19.
인공지능이 역사 왜곡에 앞장설 수 있다고?
-
생생우동(48)최신 기사 2025.08.29.
가을, 한강은…낮엔 역사탐방, 밤엔 야경투어
-
서울펀 동네힙(32)최신 기사 2025.03.28.
깨어나라, 나의 라이딩 본능… 달려 보자, 자전거 성지 ‘천호’
-
세책길(24)최신 기사 2025.09.19.
김일성 개인숭배가 뉴노멀이 된 평양의 결정적 하루
-
숲은 희망이다(4)최신 기사 2025.05.07.
산림의 ‘두 얼굴’… 든든한 탄소 흡수원, 재난 땐 탄소 배출원 ‘돌변’
-
에너지 패권 전쟁, 기로에 선 한국(17)최신 기사 2025.08.05.
“한국, 재생에너지 시장 주목받을 기회…정치적 의지·법적 기반 필요”
많이 본 뉴스
-
2
이 대통령 “흡수통일 추구하지 않을 것”…유엔 연설서 북한 손 내밀기
이재명 대통령은 23일(현지시간) “대한민국은 ‘E.N.D 이니셔티브’로 한반도의 냉전을 끝내고 세계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기 위한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대한민… -
3
“도우려고 한 건데”…도로 건너는 노인 부축했다가 뺨 맞은 여성
중국의 한 여성이 무거운 짐을 든 채 도로를 건너는 노인을 부축했다가 뺨을 맞은 사연이 전해졌다.23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여성 A씨는 지난 12일 … -
4
“타이레놀, 태아 자폐 위험 높여”… 트럼프 한마디에 의학계 ‘발칵’
임신 중 가능한 유일 진통제인데… 美, 타이레놀 복용 제한 추진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임신부들이 널리 복용하는 타이레놀(성분명 아세트아미노펜)이 태아의 자폐증 위험을 높일 수… -
5
‘DJ 차남’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 별세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차남인 김홍업 김대중평화센터 이사장이 24일 별세했다. 75세.김대중평화센터는 이날 “평생을 아버지의 정치적 동반자로 헌신해 온 김 이사장이 숙환으로 별세했…
1분 컷 뉴스
-
드론 한 방으로 626억짜리 러 방공시스템 파괴
조회수 3,659 좋아요 66 -
미사일 튕겨내는 UFO 최초 공개
조회수 21,971 좋아요 449 -
'대만 봉쇄'는 허구다! 중국 작전이 무너지는 진짜 이유
조회수 28,133 좋아요 886 -
이스라엘이 만든 구르고 날아다니는 AI 드론
조회수 4,234 좋아요 168 -
우크라가 개발한 세계 첫 '로봇 방공시스템'
조회수 8,496 좋아요 370 -
불타는 우크라이나 수도...푸틴 드론 800대 동시 발사
조회수 204,467 좋아요 6,571 -
미사일 공격에 대한 우·러의 엇갈린 주장, 과연 진실은?#Iskander-M
조회수 5,793 좋아요 109 -
상륙중인 러시아군 공겨한 우크라 무인공격드론
조회수 6,457 좋아요 215 -
크름반도 러 국경초소 초토화시킨 우크라 신형미사일 #뉴스#flamingo
조회수 22,436 좋아요 875 -
일거양득...값싼 광섬유 드론으로 다리지뢰 모두 파괴
조회수 3,922 좋아요 124 -
중국 항공모함 '푸젠함' 첫 비행 모습 공개
조회수 2,937 좋아요 47 -
우크라군이 흑해에서 점점 더 대담해지는 이유?
조회수 8,262 좋아요 246 -
우크라군이 러 핵심 주력무기 노린 이유는?
조회수 13,431 좋아요 528 -
10년 동안 개발한 이스라엘 '아이언 빔', 그 성능은?
조회수 7,575 좋아요 276 -
농민 말 듣던 이재명 '찰싹'...잠시 후 바로 사과한 사연
조회수 12,138 좋아요 69 -
"정부에 문제? 얘기해봐요" 이재명 묻자 마이크 잡더니
조회수 8,732 좋아요 48 -
"우리가 북한 먼저 도발한 적 있습니까?" "있죠"
조회수 39,574 좋아요 423 -
‘70억짜리’ 러군 희귀 드론도 저가드론에 무용지물
조회수 19,454 좋아요 705 -
"날 훌륭하다 했는데 갑자기" 이재명이 밝힌 MB의 변심
조회수 7,456 좋아요 62 -
"금융위원장 이름이 이억원" 이재명, 덜컥 뒷얘기 밝히더니
조회수 26,726 좋아요 137 -
드론 한 방으로 626억짜리 러 방공시스템 파괴
조회수 3,659 좋아요 66 -
미사일 튕겨내는 UFO 최초 공개
조회수 21,971 좋아요 449 -
'대만 봉쇄'는 허구다! 중국 작전이 무너지는 진짜 이유
조회수 28,133 좋아요 886 -
이스라엘이 만든 구르고 날아다니는 AI 드론
조회수 4,234 좋아요 168 -
우크라가 개발한 세계 첫 '로봇 방공시스템'
조회수 8,496 좋아요 370 -
불타는 우크라이나 수도...푸틴 드론 800대 동시 발사
조회수 204,467 좋아요 6,571 -
미사일 공격에 대한 우·러의 엇갈린 주장, 과연 진실은?#Iskander-M
조회수 5,793 좋아요 109 -
상륙중인 러시아군 공겨한 우크라 무인공격드론
조회수 6,457 좋아요 215 -
크름반도 러 국경초소 초토화시킨 우크라 신형미사일 #뉴스#flamingo
조회수 22,436 좋아요 875 -
일거양득...값싼 광섬유 드론으로 다리지뢰 모두 파괴
조회수 3,922 좋아요 124 -
중국 항공모함 '푸젠함' 첫 비행 모습 공개
조회수 2,937 좋아요 47 -
우크라군이 흑해에서 점점 더 대담해지는 이유?
조회수 8,262 좋아요 246 -
우크라군이 러 핵심 주력무기 노린 이유는?
조회수 13,431 좋아요 528 -
10년 동안 개발한 이스라엘 '아이언 빔', 그 성능은?
조회수 7,575 좋아요 276 -
농민 말 듣던 이재명 '찰싹'...잠시 후 바로 사과한 사연
조회수 12,138 좋아요 69 -
"정부에 문제? 얘기해봐요" 이재명 묻자 마이크 잡더니
조회수 8,732 좋아요 48 -
"우리가 북한 먼저 도발한 적 있습니까?" "있죠"
조회수 39,574 좋아요 423 -
‘70억짜리’ 러군 희귀 드론도 저가드론에 무용지물
조회수 19,454 좋아요 705 -
"날 훌륭하다 했는데 갑자기" 이재명이 밝힌 MB의 변심
조회수 7,456 좋아요 62 -
"금융위원장 이름이 이억원" 이재명, 덜컥 뒷얘기 밝히더니
조회수 26,726 좋아요 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