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생존자들은 사고발생 13일 만인 7일 공개 진술을 통해 사고 당시 폭발음이 두번 느껴졌고 귀가 아플 정도였으며 화약냄새는 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천안함의 병기장인 오성탁 상사는 이날 국군수도병원에서 가진 언론과 인터뷰에서 “사고 순간 지하 2층의 격실에서 업무보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쾅하는 소리와 함께 몸이 공중에 떠오르고 정전이 됐다”며 “귀가 아플 정도의 폭발음이 났으며 펑하는 순간에 배가 90도로 기울었다”고 말했다.
전탐장인 김수길 상사는 “안자고 있었기 때문에 ‘꽝꽝’ 소리를 두 번 느꼈다”며 “처음 ‘쿵’하는 소리는 어디에 부딪힌 줄 알고 제가 바로 전탐실로 행했고,이후의 ‘꽝’하는 소리는 약간의 폭음과 전등이 떨어지는 소리가 함께 들렸다”고 설명했다.
오 상사는 폭발 직후 화약냄새가 났었느냐는 질문에 “제가 병기장으로 탄약을 담당하는 책임자인데,만약 화약이 있었으면 불이 나고 냄새가 진동했을 것”이라며 “사고 순간 화약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최원일 함장은 “사고 원인은 오후 10시시32분 통화할 때 원인이 충격을 받은 것 같다고 했다.외부충격이라고 느꼈다”면서 “당시 고속정,구급함 등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조타장 김병남 상사도 “배가 암초나 사주(모래톱)에 걸리면 기본적으로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며 “그러나 이번 사고는 외부 충격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관장인 이채권 대위는 사고 전 비상상황이었느냐는 질문에 “행정업무를 위해 워드 작업을 하려고 기관장실에 있었는데 긴급 상황이었다면 고속 추진을 위해 기관장실에 있어야 했다”며 “어떤 조짐이 있으면 고속추진을 준비해야 하는데 사건 이전까지 아무런 조짐이 없었다”고 답변했다.
전준영 병장도 “보통 운동 할 때는 속옷 내의와 반바지를 입고한다.아마 운동을 했다면 그런 복장이었을 것”이라며 “특별한 상황이 있었으면 근무복을 입고 있어야 하는데 특별한 상황이 없어서 침실서 쉬고 있었다”고 말했다.
음파탐지를 맡은 홍승현 하사는 “당시 상황에서는 음탐기에 특별한 신호가 없었고 당직자는 정상근무했다”고 덧붙였다.
내부적인 문제로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대해 이채권 대위는 “출항 전 2~3일 전부터 작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장비나 선체의 노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사고 이전 물이 새는 경우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폭발 당시 상황과 관련,김수길 상사는 “쿵하는 소리와 동시에 침대에서 빠져나와 전탐실로 향했는데 3~5초간 꽝하는 소리와 90도로 배가 기울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소화 호스를 타고 5~7분 걸려 탈출해 외부로 나왔는데 함미가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승조원 5명이 함정 후타실에 있었던 것에 대해 오성탁 상사는 “저는 운동을 좋아해서 그 시간대면 가 있었다.사고 발생 한 시간 반전에 가서 늘 운동을 했는데 그날은 업무보고차 후타실에 가지 않았다”며 “이번에 5명이 항상 운동하는 인원들이었고 그 위치에서 봐왔던 인원들이라 더욱 안타깝다”고 울먹였다.
사고발생 시간에 대해 작전관 박연수 대위는 “제가 마지막으로 눈으로 확인한 시간은 함교에 당직사관이 확인할 수 있는 모티터상에 오후 9시24분이었다”고 말했다.
야간 등화관제를 하는 함정의 임무 특성상 승조원들이 함정내에 있었기 때문에 폭발과 동시에 물기둥은 관측할 수 없었다고 생존자들은 전했다.
한 승조원은 “기본적으로 야간 중에는 등화관제도 있지만 실족 등 사고를 방지하려고 문을 폐쇄한다.그 당시 외부에 나온 사람은 견시 2명밖에 없었다”며 “2명도 360도 다 보는게 아니라 기본적으로 항해를 하던 전방을 주시하고 있어서 뒤에서 물기둥이 발생했다면 확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한두 국군수도병원장은 브리핑에서 “일부 환자는 불안과 불면증,죄책감,악몽,기억 문제 등 심리적인 압박감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전개될 사고원인 분석과 선체 인양 결과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심리적 안정 유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자 심리 상태에 따라서는 심리가 불안하고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조절 능력이 떨어져 약물 및 상담 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급성 스트레스 장애 환자는 6명”이라며 “향후 후유증 가능성이 커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요한 고위험군은 14명,정신적 사고후유증인 중위험군은 17명,후유증이 낮은 정도의 저위험군은 21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천안함 최원일 함장이 7일 오전 경기도 성남시 국군수도병원에서 열린 언론 공개 진술에서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던 중 괴로운 표정을 짓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천안함의 병기장인 오성탁 상사는 이날 국군수도병원에서 가진 언론과 인터뷰에서 “사고 순간 지하 2층의 격실에서 업무보고 준비를 하고 있었는데 쾅하는 소리와 함께 몸이 공중에 떠오르고 정전이 됐다”며 “귀가 아플 정도의 폭발음이 났으며 펑하는 순간에 배가 90도로 기울었다”고 말했다.
전탐장인 김수길 상사는 “안자고 있었기 때문에 ‘꽝꽝’ 소리를 두 번 느꼈다”며 “처음 ‘쿵’하는 소리는 어디에 부딪힌 줄 알고 제가 바로 전탐실로 행했고,이후의 ‘꽝’하는 소리는 약간의 폭음과 전등이 떨어지는 소리가 함께 들렸다”고 설명했다.
오 상사는 폭발 직후 화약냄새가 났었느냐는 질문에 “제가 병기장으로 탄약을 담당하는 책임자인데,만약 화약이 있었으면 불이 나고 냄새가 진동했을 것”이라며 “사고 순간 화약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최원일 함장은 “사고 원인은 오후 10시시32분 통화할 때 원인이 충격을 받은 것 같다고 했다.외부충격이라고 느꼈다”면서 “당시 고속정,구급함 등을 요청했다”고 말했다.
조타장 김병남 상사도 “배가 암초나 사주(모래톱)에 걸리면 기본적으로 찢어지는 소리가 난다”며 “그러나 이번 사고는 외부 충격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기관장인 이채권 대위는 사고 전 비상상황이었느냐는 질문에 “행정업무를 위해 워드 작업을 하려고 기관장실에 있었는데 긴급 상황이었다면 고속 추진을 위해 기관장실에 있어야 했다”며 “어떤 조짐이 있으면 고속추진을 준비해야 하는데 사건 이전까지 아무런 조짐이 없었다”고 답변했다.
전준영 병장도 “보통 운동 할 때는 속옷 내의와 반바지를 입고한다.아마 운동을 했다면 그런 복장이었을 것”이라며 “특별한 상황이 있었으면 근무복을 입고 있어야 하는데 특별한 상황이 없어서 침실서 쉬고 있었다”고 말했다.
음파탐지를 맡은 홍승현 하사는 “당시 상황에서는 음탐기에 특별한 신호가 없었고 당직자는 정상근무했다”고 덧붙였다.
내부적인 문제로 사고가 났을 가능성에 대해 이채권 대위는 “출항 전 2~3일 전부터 작동을 시작하기 때문에 장비나 선체의 노후는 아니라고 생각한다”면서 “사고 이전 물이 새는 경우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폭발 당시 상황과 관련,김수길 상사는 “쿵하는 소리와 동시에 침대에서 빠져나와 전탐실로 향했는데 3~5초간 꽝하는 소리와 90도로 배가 기울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다”며 “소화 호스를 타고 5~7분 걸려 탈출해 외부로 나왔는데 함미가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승조원 5명이 함정 후타실에 있었던 것에 대해 오성탁 상사는 “저는 운동을 좋아해서 그 시간대면 가 있었다.사고 발생 한 시간 반전에 가서 늘 운동을 했는데 그날은 업무보고차 후타실에 가지 않았다”며 “이번에 5명이 항상 운동하는 인원들이었고 그 위치에서 봐왔던 인원들이라 더욱 안타깝다”고 울먹였다.
사고발생 시간에 대해 작전관 박연수 대위는 “제가 마지막으로 눈으로 확인한 시간은 함교에 당직사관이 확인할 수 있는 모티터상에 오후 9시24분이었다”고 말했다.
야간 등화관제를 하는 함정의 임무 특성상 승조원들이 함정내에 있었기 때문에 폭발과 동시에 물기둥은 관측할 수 없었다고 생존자들은 전했다.
한 승조원은 “기본적으로 야간 중에는 등화관제도 있지만 실족 등 사고를 방지하려고 문을 폐쇄한다.그 당시 외부에 나온 사람은 견시 2명밖에 없었다”며 “2명도 360도 다 보는게 아니라 기본적으로 항해를 하던 전방을 주시하고 있어서 뒤에서 물기둥이 발생했다면 확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윤한두 국군수도병원장은 브리핑에서 “일부 환자는 불안과 불면증,죄책감,악몽,기억 문제 등 심리적인 압박감을 갖고 있다”며 “앞으로 전개될 사고원인 분석과 선체 인양 결과에 따라 다양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이며,심리적 안정 유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는 “환자 심리 상태에 따라서는 심리가 불안하고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 조절 능력이 떨어져 약물 및 상담 요법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급성 스트레스 장애 환자는 6명”이라며 “향후 후유증 가능성이 커 면밀한 추적관찰이 필요한 고위험군은 14명,정신적 사고후유증인 중위험군은 17명,후유증이 낮은 정도의 저위험군은 21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