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학기술부는 일반계 고교의 영어·수학 과목에 학력 수준이 평균이 못 미치는 학생을 위한 기초과정과 우수 학생을 위한 심화과정을 별도 교과목으로 개설해 운영하기로 했다. 기존 우열반처럼 성적에 따라 학생들을 나누는 차원을 넘어 기초용·심화용으로 교재를 구분하고, 교육과정도 새롭게 편성하는 방식이다.
교과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교 교육력 제고방안을 확정, 8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발표한 외고 대책의 후속조치에 해당한다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시범학교별 1억3000만원 지원
교과부는 이를 위해 교과교실제 학교, 자율형 공·사립고, 기숙형 고교 등을 위주로 올해 시범학교 60곳을 지정, 하반기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학교별로 해당 학생이 적거나 강사 확보가 어려우면 지역교육청이 거점학교 등을 통해 이 과정을 운영하도록 했다. 시범학교로 지정되면 학교별로 1억 3000만원, 해당 지역교육청에는 3억원을 지원한다. 시범실시 결과를 분석해 2012년 하반기에 일반계고 도입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범학교에서는 진단평가 등을 거쳐 일반 교과과정을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 결손 학생을 위해 수학·영어 기초과정을 개설, 운영하게 된다. 우수 학생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고급 수학이나 심화 영어 등 심화과정을 선택해 수준에 맞게 공부할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에는 심화반·기초반에서 일정 기준을 통과할 경우 ‘이수’ 사실만 기록하도록 했다.
이주호 제1차관은 “지난해 외국어고 입시 대책을 마련할 때 특수목적고가 아닌 일반계고에서도 심화과정을 학습할 수 있게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일반계고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과목을 듣고, 진로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선택하면서 공교육 만족도가 제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특히 기초과정을 개설한 부분이 큰 변화”라면서 “학력 미달 학생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별도 교과목을 통해 가르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에 기초과정을 새로 만들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강의력 등 조사없어 효과 의문”
2학기부터 시범 실시되는 기초·심화과정 운영이 전 과목, 전 학교로 확산된다면 현재의 고교 교육체계가 송두리째 바뀔 만한 파괴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교육계 일각에서는 시범운영에서 기대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를 두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당장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선택할 학생이 몇 명이나 되며, 특히 심화과정의 경우 일선 교사들이 학원 강사들 못지않은 강의력을 보일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실태 및 수요조사도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시범운영 과정에서 뜻밖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교과부와 교육청이 추가 과목 개설에 따른 교사·강사·교실 확보와 교재 선정도 쉽지 않다. 게다가 대학입시에 기초·심화반 수업 과정을 반영할 경우 형평성 시비를 낳을 수도 있다.
기초·심화반 학생들의 내신성적을 표준화하는 작업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런가 하면 일부에서는 대입에서 심화과정 이수 여부가 당락의 변수가 된다면 심화과정 진입을 위한 사교육이 또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교과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교 교육력 제고방안을 확정, 8일 발표했다. 지난해 말 발표한 외고 대책의 후속조치에 해당한다고 교과부는 설명했다.
●시범학교별 1억3000만원 지원
교과부는 이를 위해 교과교실제 학교, 자율형 공·사립고, 기숙형 고교 등을 위주로 올해 시범학교 60곳을 지정, 하반기부터 운영하기로 했다.
학교별로 해당 학생이 적거나 강사 확보가 어려우면 지역교육청이 거점학교 등을 통해 이 과정을 운영하도록 했다. 시범학교로 지정되면 학교별로 1억 3000만원, 해당 지역교육청에는 3억원을 지원한다. 시범실시 결과를 분석해 2012년 하반기에 일반계고 도입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시범학교에서는 진단평가 등을 거쳐 일반 교과과정을 따라가지 못하는 학습 결손 학생을 위해 수학·영어 기초과정을 개설, 운영하게 된다. 우수 학생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고급 수학이나 심화 영어 등 심화과정을 선택해 수준에 맞게 공부할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에는 심화반·기초반에서 일정 기준을 통과할 경우 ‘이수’ 사실만 기록하도록 했다.
이주호 제1차관은 “지난해 외국어고 입시 대책을 마련할 때 특수목적고가 아닌 일반계고에서도 심화과정을 학습할 수 있게 하자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일반계고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에 맞는 과목을 듣고, 진로에 도움이 되는 교과목을 선택하면서 공교육 만족도가 제고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특히 기초과정을 개설한 부분이 큰 변화”라면서 “학력 미달 학생들을 줄이기 위해서는 별도 교과목을 통해 가르치는 게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에 기초과정을 새로 만들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했다.”고 덧붙였다.
●“강의력 등 조사없어 효과 의문”
2학기부터 시범 실시되는 기초·심화과정 운영이 전 과목, 전 학교로 확산된다면 현재의 고교 교육체계가 송두리째 바뀔 만한 파괴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교육계 일각에서는 시범운영에서 기대한 성과를 거둘 수 있을지를 두고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당장 기초과정과 심화과정을 선택할 학생이 몇 명이나 되며, 특히 심화과정의 경우 일선 교사들이 학원 강사들 못지않은 강의력을 보일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실태 및 수요조사도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시범운영 과정에서 뜻밖의 상황을 맞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교과부와 교육청이 추가 과목 개설에 따른 교사·강사·교실 확보와 교재 선정도 쉽지 않다. 게다가 대학입시에 기초·심화반 수업 과정을 반영할 경우 형평성 시비를 낳을 수도 있다.
기초·심화반 학생들의 내신성적을 표준화하는 작업도 어려움이 예상된다. 그런가 하면 일부에서는 대입에서 심화과정 이수 여부가 당락의 변수가 된다면 심화과정 진입을 위한 사교육이 또 생길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4-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