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스에 사람이 깔렸어요…힘을 내요, 들어봅시다!”

“버스에 사람이 깔렸어요…힘을 내요, 들어봅시다!”

입력 2010-06-29 00:00
수정 2010-06-29 15: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시내버스에 깔린 남성을 구하기 위해 시민들이 버스를 들어올리려 했던 소식이 가슴을 찡하게 만들고 있다.

 지난 28일 서울 역삼동 강남역 인근 버스 정류소에서 한 남성이 시내버스에 깔리는 사고가 발생했다.

 네티즌 ‘김호민’은 다음 아고라 게시판에 “버스에 앉아 있는데 사고가 났다는 소식에 내려보니 사람이 깔려있었다.”며 “아무 생각을 하지 못하고 소리를 지르며 무작정 뛰어갔다.”고 당시를 떠올렸다.

 그러고는 “어떤 사람이 버스를 밀어(들어) 보자고 소리쳤고, 버스정류소에 있던 사람들이 스무명 넘게 버스를 밀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하나 둘 셋’ 구령에 맞춰 시민들이 힘을 썼지만 버스는 꿈쩍하지 않았고, 밑에 깔린 남성은 정신을 잃었는지 불러도 대답이 없었다. 미동도 하지 않는 버스를 들어올리기 위해 더 많은 사람들이 합세했고, 일부는 차량 통제를 하며 힘을 보탰다. 근처에 있던 굴삭기도 인명 구조를 위해 동원됐다. 결국 이 남성은 구조된 뒤 119구조대에 의해 실려갔다.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소식을 전한 김호민씨는 “(사고를 수습한 뒤) 걸어서 가는 내내 눈물을 멈출 수가 없었다. 두려움과 무서움 때문이었다.”며 “하지만 같이 힘냈던 모습을 기억하겠다. 아무리 세상이 험하고 무섭다고 하더라도 분명한 사실은 반대편에 계신 분들이 있다는 것”이라고 전했다.

 인터넷서울신문 최영훈기자 taiji@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